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손잡이잔

추천0 조회수 1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손잡이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액체를 담는 작은 그릇 <역사> 술이나 물 등을 담는 작은 그릇. 그릇의 형태나 재질 등에 따라 배(杯)·작(爵)·완(碗) 등도 잔이라 불리기도 한다. 재질은 금·은·청동·나무·쇠·구리·흙·곱돌·유리·수정·옥 등 매우 다양하다. 근래에는 스테인레스나 합성수지로도 만들어진다. 용도는 각종 의례나 부장품으로도 쓰였으나 대개 생활 속에서 음식기로 쓰였다. 형태는 굽·손잡이·잔대(盞臺‚ 잔받침)·뚜껑의 유무로 구별된다. 또 어떤 물건이나 동식물을 본따 만들기도 한다. 문양은 대개 길상문·화초문·초충문(草蟲紋) 등이 들어가 있는 경우가 많다. 또 안에 구슬 등을 집어 넣어 잔을 들 때마다 소리가 나도록 한 것도 있어 조상들이 매우 창의적으로 잔을 제작하였음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신석기시대의 토기(土器)잔부터 시작하여 조선시대의 백자잔까지 시대에 따라 다양한 기술과 형태로 잔을 만들어 썼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삼국시대 무덤인 신라 황남대총(AD 5세기)에서 나온 잔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검은 회색을 띤 삼국시대의 토기 잔이다. 토기의 번조온도는 바탕흙에 포함되어 있는 광물이 녹기 시작하지 않을 정도인 1‚000 ℃ 미만(600-800 ℃)의 것이 많다. 세계 각국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보면 토기와 도기의 구별은 반드시 명확하지 않다. 도자기(pottery ·ceramic: 영국‚ Keramik: 독일 등) 또는 도(陶:중국) 등의 말은 도기와 토기를 다 포함한 개념이다. 다공성(太孔?)은 토기가 갖고 있는 특질이지만 물손질‚ 마연(磨硏)‚ 그슬려 태우는 것에 의한 탄소입자의 흡착 등은 바탕흙 ·그릇 표면을 치밀하게 하여 다공성을 감소하는 역할을 하며‚ 바탕흙과 함께 넣는 재료나 바탕흙을 깎는 것 등은 바탕흙의 다공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것의 증감은 토기의 용도‚ 대소(?小)‚ 장식의 유무 등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한국의 경우 토기와 도기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엄밀히 구분하자면 토기는 600도에서 800도 사이에 구워진 것을 말하고‚ 도기는 900도에서 1000도 사이에서 구워진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토기라는 용어의 많은 부분이 도기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삼국시대의 토기는 청동기시대 이래의 민무늬토기와는 달리 고운 찰흙을 써서 만든 것이 많은데‚ 보통 모래 50-60%에 진흙 40-50%를 섞어 만들었다. 진흙을 끈처럼 만들어 말아 올리는 방법으로 성형한 뒤‚ 돌림판을 돌려 목과 아가리 부분을 다듬고 손이나 대칼 또는 조개껍질 등으로 문질러 완성했다고 여겨진다. 이와 같이 검은 회색을 띤 토기는 보통 900-1000℃의 고온에서 구워진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것은 과거처럼 노천이 아니라 밀폐된 공간에서 구워진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당시 야철기술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