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동제동곳

추천0 조회수 1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동제동곳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상투를 튼 후에 풀어지지 않도록 위에 꽂는 장식. <발달과정/역사> 우리나라에서 머리 장식의 사용은 ≪증보문헌비고≫에 ‘단군이 나라 사람들에게 머리털을 땋고 머리를 가리는 법을 가르쳤다’는 기록으로 보아‚ 머리털을 정리하게 되면서 머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식도 있었으리라 추정된다.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성인 남자는 대개 상투를 하였으며‚ 여자는 얹은머리나 쪽진 머리를 비롯하여 다양한 머리모양을 하였는데‚ 정리한 머리가 풀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동곳이나 비녀의 사용이 더욱 많아졌을 것이다. 삼국사기에서 차(釵‚ 장식비녀)라는 기록과 함께 신라 흥덕왕대의 복식금제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부여에서 발견된 백제의 은비녀는 당시 비녀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부녀자의 머리모양은 고대 이후 고려시대까지 별다름이 없어 고려의 여인들도 머리에 작은 비녀를 꽂았으며‚ 조선 중기 이후에는 가체에 의한 얹은머리가 유행하였는데 다리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데 비녀가 사용되었다. 남자의 경우에는 관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었는데‚ 면류관에 꽂는 옥잠도(?簪導) 또는 금잠도(金簪導)‚ 조신(朝臣)의 양관(梁冠)에 꽂는 각잠(角簪) 등이 있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동곳은 남자의 상투가 풀어지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수식물이다. 상투의 정상에 동곳을 박고 머리를 망건으로 둘러맸다. 그리고 망건은 당줄을 관자에 걸어 머리에 고정시켰다. 동곳의 모양은 여자들의 비녀와 같이 머리 부분과 막대부분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크기는 2.5∼5㎝ 내외로 상당히 작다. 동곳의 일반적인 모양은 머리부분이 반구형(半球形)이고 밑은 약간 굽었거나 똑바른 것‚ 말뚝같이 생긴 것이 있다. 크기가 아주 작은 것은 어린 신랑이나 머리숱이 적은 노인이 사용하였다고 보여진다. 동곳의 남자 머리 수식의 하나로 풍잠‚ 관자 등과 함께 신분에 따라 다른 재료를 사용하였다. 사용에 있어서는 신분에 따른 제한은 없었으나‚ 의관정제를 선비의 도리로 삼던 양반층의 유물을 보면 금‚ 옥‚ 산호‚ 비취‚ 밀화 등으로 만든 고급품은 주로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아 당신의 호사를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일반 서민들은 백동‚ 주석‚ 나무‚ 뿔로 만든 것을 주로 사용하였다. 동곳 전체가 금‚ 옥‚ 산호 등으로 되어있는 것도 있고 일부분만 되어있는 것도 있다. 상중에는 대개 흑각제품(黑角製品)을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89. 高麗?學校民族文化硏究所‚ 『韓國民俗?觀』 2‚ 1980. 柳喜卿‚ 『한국복식사연구』‚ 梨花?子?學校出版部‚ 197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