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소호

추천0 조회수 2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소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아래위가 좁고‚ 배가 불룩 나온 백자토로 만들어진 오지그릇. <발달과정/역사> 선사시대의 우물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선사시대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점차 시대를 지나오면서 바뀌게 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키가 작고 아가리가 넓으며 아래가 좁고 배가 몹시 부른 것이 특징으로 크기는 대·중·소의 여러가지가 있다. 항아리는 고추장류를 담그는 데 주로 쓰였고 쌀이나 잡곡을 저장하는 데도 쓰였다. 한민족(漢民族) 사이에 발생한 한문자인 호(壺)도 바로 항아리의 형상을 본떠서 만들어진 것이다. 입·목부분의 특징에 따라 입큰항아리(廣口壺)·목긴항아리(長頸壺)·목짧은항아리(短頸壺)로 나뉜다. 옛날부터 넓은 지역에 걸쳐 써왔으나‚ 토기 발명 이후 최초로 만들어진 것은 아래보다 위가 약간 벌어진 주발 모양의 옹기뿐이었으며‚ 항아리가 만들어진 것은 그보다 나중이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정양모‚ “조선 백자”‚ 대원사‚ 1998. "朝鮮白磁展 Ⅱ"‚ 호암미술관‚ 삼성미술문화재단‚ 198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