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연목와편

추천0 조회수 1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연목와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지붕의 연목(서까래) 끝단에 부착하는 기와로 중앙에 구멍을 뚫음. <유래 및 발달과정> 연목와는 삼국시대부터 나타나고 있으며 연목(서까래)의 끝단을 장식하는 한편 건축부재들의 부식을 방지하는 부수적인 역할도 하게된다. <일반형태> 연목와는 둥근외형에 주로 연화문이 새겨져 있어 형태상 수막새와 유사하지만 중앙에 못 구멍이 뚫려 차이를 보인다. 이 연목와 편은 상당부분이 결실되어 현재 1/3 가량 잔존하지만 대체적인 형태를 추정하는데는 어려움이 없다. 花瓣(연꽃잎)은 현재 3엽이 남아있지만 전체적인 배치 구도상 원래 8엽이었을 추정된다. 자방은 직경 7cm로 자방의 외연에는 2열의 작은 연자가 돌려져있으며‚ 그 안쪽으로 큰 연자들이 듬성듬성 배치되어있다. 자방의 중앙에는 방형의 釘孔(못 구멍)이 뚫려 있다. 측면은 칼로 깎아 정지한 흔적이 남아있으며 뒷면에는 원형의 물손질자국이 남아있다. 전체적인 색조는 회청색으로 태토는 사립이 거의 없는 정선점토를 사용하였고 소성상태도 양호하다. 시대는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 사이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문화재관리국‚ 1989‚『미륵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 국립경주박물관‚ 2000‚『신라와전』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1『하남 천왕사지 시굴조사보고서』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