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금동구층탑

추천0 조회수 30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금동구층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하기 위한 축조물인 탑의 모형을 본 따 작게 만든 것. <동의어> 탑파(塔婆)‚ 스투파(?堵婆)‚ 방분(方墳) 고현처(高顯處) <발달과정/역사> 탑파는 인도에서 발생한 것으로 스투파(?堵婆)라고 하는데‚ 이를 의역(意譯)하여 방분(方墳) 또는 고현처(高顯處)라 일컫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탑이라고 부르는데‚ 스투파는 고대 인도어인 범어(梵語‚ Sanskrit)의 stupa의 소리를 한문으로 표기한 것이며‚ 탑파는 파리어(巴梨語‚ Pali)의 thupa를 한문으로 표기한 것이다. stupa는 신골(身骨)을 담고 토석(土石)을 쌓아 올린 불신골(佛身骨‚ 眞身舍利)을 봉안하는 묘(墓)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탑파란 석가모니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한 축조물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의 불교 수용과 탑파의 건립 경로는 중국을 거쳐 4세기 후반에 시작되어 인도·중국과 다른 독특한 탑파의 양식이 이루어졌다. 한국 고대 유적 유물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은 불교적인 조형물이다. 이 가운데서도 양과 질에서 볼 때 중추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탑파와 불상이라 할 수 있으니‚ 이러한 상황은 탑파와 불상이 불교의 예배 대상으로서 불교도들의 신앙과 정성이 모두 이 두 곳에 결집되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즉‚ 불교에서는 사원을 건립하는 목적이 탑파를 세우고 불상을 봉안하여 이 탑파와 불상에 예배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탑파는 불교의 교주인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하기 위하여 건립하였고‚ 불상은 직접 그를 향하여 예배를 올리는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탑파와 불상은 가장 뛰어난 불교미술로서 한국의 고대미술을 대표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현재까지 조사된 우리나라의 탑파는 1‚000기 이상을 헤아릴 수 있는데‚ 이 탑들을 건조한 재료에 따라 분류하여 일반적으로 목탑(木塔)·전탑(塼塔)·석탑(石塔)·모전석탑(模塼石塔)·청동탑(靑銅塔)·금동탑(金銅塔)이라 부르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초기에는 중국의 고루형(高樓形) 목탑양식을 모방한 누각형식의 다층목탑이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삼국시대 말기에 이르러 백제지역에서는 목탑을 모방한 석탑이 비롯되고‚ 신라에서는 전탑을 모방한 석탑에서 시작되어‚ 바야흐로 석탑이 우리 나라 탑파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참고문헌> <국보 5> 공예‚ 진홍섭 편저‚ 웅진출판‚ 1992‚ 도84‚ 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朝鮮塔婆의 硏究(高裕燮‚ 乙酉文化社‚ 1948)‚ 韓國의 塔(張忠植‚ 一志社‚ 1989)‚ 韓國佛塔100選(黃壽永·鄭永鎬 編‚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