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양각모란문접시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양각모란문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그릇의 깊이가 얕고 납작한 그릇‚ 입지름이 20cm 이하인 것. <발달과정/역사> 우리나라의 청자는 통일신라 말에 축적된 제반 여건들과 중국 청자 기술의 영향을 받아 9∼10세기경에 처음 만들어져서 고려시대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자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그릇을 만드는 바탕 흙이 점토에서 자질(磁質‚ 白土)로 바뀌고 유약은 회유(灰釉) 대신 장석계 유약이 쓰이게 되는데‚ 또한 높은 온도로 환원염 번조를 하기 위한 등요가 있어야 하는데‚ 토기가 주류를 이루던 삼국시대나 통일신라로 이어져오는 가운데서도 7세기경부터 연유계 시유도기(鉛釉系施釉陶器)‚ 회유계 경질시유도기(灰釉系硬質施釉陶器)가 만들어져 이미 유약을 사용한 오랜 전통이 있었다. 이러한 제반 여건들은 통일신라 말에 축적되어‚ 그 기반 위에 중국 청자 기술의 영향을 받아서 9세기 중엽 이후 청자가 만들어진다. 11세기에서 12세기 초반까지는 중국 청자와의 교류 속에서 청자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형태나 문양‚ 번조수법 등이 고려적으로 세련되어 갔다. 12세기 중엽부터 몽고가 침입하는 13세기 전반까지는 고려 청자의 절정기에 해당되는데‚ 이 때에 뛰어난 비색과 상감기법이 어우러져 세계 최고의 청자를 생산하게 된다. 몽고 침입 이후부터 고려청자는 퇴보하지만 귀족들을 위한 소수의 뛰어난 자기가 생산되기도 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대개 고려자기의 색은 황록색‚ 황갈색도 있지만 비색청자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보는데‚ 비색 청자의 경우‚ 유약의 색은 초록이 섞인 푸른색으로 비취색(翡翠色)과 흡사하고 투명에 가까우며 태토(胎土)의 색은 흐린 회색이기 때문에 청자의 색은 회색이 바탕이 된 녹청색이 되며 고려사람들은 이를 비색(翡色)이라 하였다. 이에 비해 녹갈색이나 황갈색을 띠는 녹청자의 경우는 통일신라 말부터 지방 수요층을 대상으로 생산된 것인데‚ 이는 토기를 만들던 바탕 흙을 정선하여 그 위에 고화도의 회유를 입힌 것으로‚ 청자문화가 급속히 퍼져나감에 따라 저질의 값싼 청자로 일반 백성들의 수요를 충당하였다. 주로 서남해안 일대에서 만들어졌으며 태토에 모래 등 잡물이 섞이고 번조한 뒤에도 기공(氣孔)이 많은 등 치밀하지 못하고‚ 유약도 회유와 흡사하여 그 색이 녹갈색을 머금고 있으며 유면(釉面)도 고르지 못하다. 청자의 기종으로는 흔히 접할 수 있는 그릇모양으로는 표주박모양병과 주전자‚ 참외모양 병이나 향로‚ 탁잔‚ 꽃병‚ 매병(梅甁) 등이 있고‚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정병‚ 연적 등을 비롯하여 일상생활용기인 대접 등이 있다. 청자의 그릇 표면에는 여러 가지 문양이 베풀어지는데‚ 대접의 경우 각 문양의문화연구원‚ 1989) 문화재용어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포치 및 구성은 먼저 주문양(主文樣)과 종속문양(從屬文樣)이 있어 그릇의 넓은 중심부위에 주문양을 배치하고 구연부(口緣部)나 안쪽바닥 굽 언저리 등 주문양 상하에 종속문양을 배치한다. 주문양은 사실적인 것에서 출발하여 공예의장의 성격으로 양식화되지만‚ 회화적이고 여백을 많이 살려 자연이 지니는 맛을 잃지 않았다. 그리고 상감 무늬를 새겨 넣을 경우‚ 초기에는 대개 문양이 극히 요약된 것이 많고 또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대접그릇의 경우처럼 안쪽이나 바깥쪽 한 군데에만 상감을 하는 경우가 있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