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사자문수막새

추천0 조회수 1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사자문수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수키와 열의 가장 아래 끝단에 내림 면을 가지는 기와 <유래 및 발달과정> 수막새는 평기와보다 늦게 발생하였으며 암막새는 이보다도 한참 후에 나타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고구려에서 처음 보이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 이래로 점차 수막새는 사라지게 되고 그 대신 회막음 처리를 하게 되며‚ 암막새는 지속되지만 내림새 부분의 형태가 넓고 길게 늘어지며 내면에는 명문을 새겨넣게 된다. <일반형태> 이 수막새는 중앙에 사자문을 정면관으로 두고 연주문을 주위에 두른 후 보상화문을 배치한 것으로 사자의 갈기가 사방으로 뻗쳐서 마치날개처럼 보인다. 당당한 사자의 모습은 박진감이 넘쳐 역동적이다. 주연은 문양대보다 약간 높은 단을 이루며 형성되었는데 연주문 대신 직선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독특한 모습이다. 외면의 색조는 적갈색으로 연질이며‚ 태토는 고운 사립이 일부 섞인 정선된 점토를 사용하였다. 시대는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된다. < 참고문헌> 韓國의 佛敎美術(黃壽永‚ 同和出版公社‚ 1980)‚ 三國時代 蓮花文硏究(金和英‚ 歷史學報 34‚ 1967.6.)‚ 新羅의 기와(金東賢 ?‚ 韓國建築史?系 Ⅴ-建築과 文樣 上-‚ 東山文化社‚ 1976)‚ 統一新羅時代의 瓦塼硏究(金誠龜‚ 考古美術 162·163‚ 韓國美術史學會‚ 198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