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귀주머니

추천0 조회수 2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귀주머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양쪽 귀가 각이 진 형태의 주머니로 각낭(角囊)이라고도 한다. <역사> 주머니의 역사는《삼국유사(三國遺事)》경덕왕조(景德?條)에 “왕이 돌날부터 왕위에 오를때까지 항상 부녀(婦?)의 짓을 하요 비단주머니(錦囊)를 차기를 좋아했다.”는 금낭의 기록과 함께 이미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고려시대에도《고려도경(高麗圖經)》귀부조(貴婦條)에 “요대(腰帶)에 채조(采條)로 금탁(金鐸)을 달고 금향낭을 찼는데 많은 것을 귀히 여겼다.”라는 기록으로 고려인들이 주머니를 찼던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도 주머니의 패용은 여전했으며‚ 우리 의복에는 주머니 역할을 하는 것이 없었기 때문에 실용적인 목적으로 따로 만들어 차던 것이 장식품으로도 사용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노리개에 다는 주머니로는 수향낭(繡香囊)이 대표적이며‚ 주머니 둘레가 둥근 염낭(두루주머니)과 양옆에 모가 나 있는 귀주머니는 단독으로 찼다. 그리고 염낭이나 귀주머니에는 오색의 술을 달아 모양을 아름답게 꾸몄고‚ 그 사용한 천과 색‚ 부금(付金) 여부에 따라 신분의 존귀‚ 귀천‚ 상하를 나타내기도 했다. 궁중발기(宮中撥記)에 나타난 궁낭(宮囊)을 살펴보면 염낭과 귀주머니 두 가지로 구분되며‚ 그 놓은 수(繡)의 문양에 따라 황룡자낭(왕을 상징)‚ 봉낭(왕비상징)‚ 십장생줌치‚ 오방낭‚ 연화향낭 등이 있다. 거의 네모나게 지은 주머니를 세가닥으로 모아 겹쳐서 아구리를 막아 끈으로 꿰어차게 된 주머니다. 자연 윗자락은 접혀 처지기 때문에 수를 놓을 때는 무늬를 거꾸로 넣는다. 차는 끈을 그대로 죄어서 고를 지어 고정하면 닫힌다. 이 유물은 자수나 금박이 있지 않고 장식이 하나도 없는 흰색 명주로 만든 민무늬 귀주머니이다. 주머니 입구도 막혀있다. 한쪽 면에는 붉은 얼룩이 묻어있다. 양쪽 귀가 각이 진 각상이다. <참고문헌> 담인복식미술관(이화여자대학교‚ 1999)‚ 민족생활어 사전(한길사‚ 1997)‚ 한국복식2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95) <유사용어> 각낭(角囊)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