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귀이개뒤꽂이

추천0 조회수 5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귀이개뒤꽂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귀지를 파내는 기구이고‚ 뒤꽂이는 쪽진머리 뒤에 덧꽂는 비녀 이외의 수식물을 말한다. <역사> 뒤꽂이는 백제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금제뒤꽂이(무령왕릉출토‚ 국보 159호)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고‚ 고려시대의 불화에 나타난 귀부인의 머리장식에서도 화려한 뒤꽂이 장식을 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가체금지령(加體禁止令)이 내려진 광해조(光涇朝) 이후에 출현하여 조선후기가 절정기였고‚ 사족(士族)의 부녀자나 궁중의 내명부(內命婦)에 국한하여 사용하였으며‚ 품위에 따라 차이를 두었다. 그러나 조선말의 혼란기에 접어들면서 크기가 작아졌고‚ 문양도 도식화되었으며‚ 기생이나 천민들에게까지 사용범위가 확대되었다. 개화기 이후에는 쪽진 머리가 사라짐에 따라 사용 빈도도 점차 줄어들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귀이개는 원래 귀지를 파내는 실용적인 도구이나 점차 장식화 하여 쪽진 머리에 덧꽂는 부녀자들의 머리 장식품인 뒤꽂이로도 사용되었다. 한쪽은 귀지를 파낼 정도의 작고 둥근 숟가락 모양으로 하고 반대쪽은 끝이 뾰족하며‚ 몸체에는 여러 가지 장식을 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재료로는 나무나 금속을 사용하나 점차 장식적 의미가 가해져 금(金)·은(銀) 등에 칠보(七寶)를 입히거나 은이나 옥(?)으로도 만들었다. 쪽진 머리의 뒤꽂이로 사용된 것은 몸체에 무늬를 새기거나 칠보를 입히고 끝부분을 화려한 장식으로 꾸민 것이었다. 한편 귀이개는 노리개로도 이용되어 귀이개로 사람다리를 한 방아다리노리개를 만들어 착용하였고‚ 이를 어린이 장난감으로도 이용하였다. 이 귀이개는 원래 귀지를 파내는 실용적인 도구이나 점차 장식화 하여 쪽진 머리에 덧꽂는 부녀자들의 머리 장식품인 뒤꽂이로도 사용되었다. 한쪽은 귀지를 파낼 정도의 작고 둥근 숟가락 모양으로 하고 반대쪽은 끝이 뾰족하며‚ 몸체에는 여러 가지 장식을 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재료로는 나무나 금속을 사용하나 점차 장식적 의미가 가해져 금(金)·은(銀) 등에 칠보(七寶)를 입히거나 은이나 옥(?)으로도 만들었다. 쪽진 머리의 뒤꽂이로 사용된 것은 몸체에 무늬를 새기거나 칠보를 입히고 끝부분을 화려한 장식으로 꾸민 것이었다. 한편 귀이개는 노리개로도 이용되어 귀이개로 사람다리를 한 방아다리노리개를 만들어 착용하였고‚ 이를 어린이 장난감으로도 이용하였다. 이 귀이개는 역시 귀지를 파내는 기구이면서 쪽진 머리에 꽂게 한 수식(首飾)의 기능을 같이하고 있다. 은제이며 몸체에는 박쥐문양을 앞면에 칠보로 장식하였고‚ 귀지를 파낼 정도의 작은 숟가락 모양의 부분은 파란(琺瑯)으로 장식하였다. 숟가락 모양으로 움푹 들어간 뒷면에는 작은 꽃무늬가 칠보로 장식되어있고 뒷면에는 당초문양이 장식되어있으나‚ 칠보가 일부 떨어져 나간 곳이 보인다. 박쥐문양은 특히 여성용 장신구에 많이 사용되는데‚ 박쥐의 한자음이 복`福`자와 같아 행복을 상징하며 또한 다산(太産)을 상징하기 때문인 것 같다. <참고문헌> 한국복식2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97) 담인복식미술관(이화여자대학교‚ 1999) 민속생활어 사전(한길사‚ 1997) 복식류명품도록(고려대학교박물관‚ 199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