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머리탁자

추천0 조회수 9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머리탁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네 기둥을 세우고 사방이 트여있는 다층의 탁자. <역사> 사방탁자는 18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서가에서 발전하여 제작되기 시작하였다.『임원경제지』에는 사방탁자의 시렁 위에 서권(書卷)‚ 화축(畵軸)‚ 취우(翠羽)‚ 호(壺)‚ 향로‚ 다완(茶椀) 등 문방기구를 늘어놓는 문방의 총 책임자로서 서실의 사치스런 완상물이라 극찬하였다. 층널과 기둥으로만 이루어진 쾌적한 비례의 사방탁자는 한국에만 있는 일품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방형의 네 기둥과 층널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사방이 트여 있어 시각적으로 시원하고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밑 부분의 층널 한 단을 수납장으로 만들거나 혹은 수납장 위에 두 개의 서랍을 곁들이는 경우도 있으며‚ 2·3층의 층널 양면‚ 또는 뒷면을 막기도 한다. 이와 같은 형태를 사랑방에서는 문방가구로‚ 안방에서는 애완물 등을 올려놓는 장식가구로 즐겨 사용하였다. 형태는 정방형이 기본형이며 흔히 쌍으로 놓고 쓴다. 장방형인 장탁자의 경우에는 높이가 얕고 밑 부분에 수납장을 둔다. 장탁자는 용도에 따라 책탁자(冊卓子)·다탁자(茶卓子)로 분류된다. 장탁자는 사방탁자와 같은 형태지만 사주(四柱)가 장방형을 이루고 2-3층으로 높이가 낮은 것이 특징이다. 책탁자는 장탁자의 일종이고 골주와 층널로만 구성된 것을 말하며 책을 꽂아 놓으므로 책탁자라고 부른다. 그리고 찬탁자는 2-3층으로 되어 형태는 장탁자와 비슷하지만 기둥이나 널판이 훨씬 두텁다. 사랑방 탁자들은 일반적으로 배나무와 오동나무를 사용하였다. 구성은 얇은 쇠목의 연결을 맞짜임 혹은 연귀촉짜임으로 튼튼하게 물리고‚ 문판에는 문변자(門邊子 : 문짝의 좌우·상하에 이어댄 테두리 나무)를 둘러 문판이 휘어지는 것을 막았다. 사방탁자는 검소한 조선시대 문방생활을 운치있게 하여주는 대표적 가구로서‚ 그러한 분위기에 맞게 자연의 나뭇결을 잘 살린 부재를 문판에 썼다. 그리고 기능상 꼭 필요한 경첩·앞바탕·들쇠(반달 모양의 쇠손잡이) 외에는 많은 금구장식(金具裝飾)을 삼가고 재료도 거멀쇠(목재를 한데 붙일 때 단단히 맺기 위하여 쓰이는 쇠) 및 주석을 사용하였다. 목재는 서장(書欌)과 같이 불에 그을리거나 재로 문질러 광택을 없애고 나뭇결이 나타나도록 하였다. 골재(骨材)는 참죽나무·소나무·배나무를 썼고‚ 판재(板材)는 오동나무·소나무를 사용하였다. 사방탁자의 구성미는 가느다란 기둥과 가로지른 쇠목의 비례가 우수하며 그 결구의 기법도 뛰어나 조선시대의 공예미를 대표하고 있다. 이 머리탁자는 단층으로 되어 있고‚ 하단에는 서랍과 장으로 되어 있다. 약과형 앞바신문화연구원) 한국의 목가구(2002년‚ 서울역사박물관) 운현궁 생활유물(2003년‚ 서울역사박물관) 옛가구의 아름다움(1996년‚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유사용어> 책탁자‚ 머리탁자‚ 사방탁자탕에 당초문이 음각되어 있고‚ 손잡이는 제비초리형에 당초문이 음각되어 있다. 불로초 모양의 경첩에 식물무늬가 음각되어 있고‚ 귀장식은 박쥐형이다. 귀잡이는 불로초 모양이며‚ 서랍주변의 측면에는 새발감잡이를 대었다. 문판에는 양쪽에 모란당초문을 화려하게 음각한 것이 보인다. 서랍을 보면‚ 배꼽형들쇠받침에 들쇠가 달려있는데 들쇠 중앙에 특이한 음각장식이 보인다. 왼쪽 서랍의 들쇠 옆에는 돼지가 음각되어 있고‚ 오른쪽 서랍의 들쇠 옆에는 호랑이가 음각되어 있다. 탁자의 다리는 고사리가 말린 모양이며‚ 풍혈은 없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