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다리미

추천0 조회수 9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다리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옷이나 천의 구겨진 주름살을 펴는데 사용되는 도구로 한자어로는 ‘울두(複斗)’ 또는 ‘화두(火斗)’라고 한다. 또《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고무(?沐)는 속명으로 다리우리라고 하며‚ 불붙은 숯을 넣고 옷감을 펴는 것”이라 하여‚ 고무라고도 하고 우리말로는 다리우리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역사> 다리미는 예로부터 사용되어 왔던 것으로‚ 그 유물이 신라고분인 천마총과 백제 고분인 무령왕릉에서 출토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형태는 쇠붙이로 연엽(蓮葉)대접 비슷하게 만들었는데‚ 밑이 반반하고 자루가 달려 있으며‚ 안에는 숯불을 담아 달구었다. 무령왕비가 사용하였을 청동다리미는 그 형태가 연잎대접모양으로‚ 화로와 같이 전이 있고 전 한쪽에 긴 자루가 달려있다. 고려시대의 유물도 삼국시대의 것과 별 차이가 없는데‚ 조선 후기는 다리미의 형태가 변형되고 있다. 즉‚ 다리미의 전이 없어지고 운두가 비스듬히 경사지게 되었으며‚ 내부에는 밑바닥의 중앙으로부터 8방 혹은 12방으로 뻗어나간 방사형 선문(線文)을 넣기도 하는 등 장식을 하였다. 재료는 주로 무쇠였고‚ 철제도 있었다. 손잡이가 다린 다리미의 다림질 방법은 다림질감을 다림질판에 놓고 다리는 것이 아니라 두 사람이 다림질감을 마주 잡아당기면서 그 위를 문질러 다림질한다. 이때 여러 번 문지르지 않아야 하며 뜨거운 다리미로 단번에 습기를 말리면서 다려야 풀도 서고 곱게 다려진다. 그밖에 19세기 중엽 영국에서 처음 제작된 재래식 다리미로 오늘날의 전기다리미와 모양이 비슷하나 숯불을 넣고 사용하는 다리미가 있고‚ 숯불이나 연탄불 위에 다리미 자체를 올려놓아 뜨거워졌을 때 사용하는 것도 있다. 다리미는 긴 손잡이와 다림질 부분으로 나뉜다. 특히 여기 보이는 다리미를 보면 다리부분은 쇠로 되어 있고‚ 긴 손잡이는 나무로 되어있는데 손잡이 부분은 최근에 새로 해 넣은 것이다. 손잡이에는 음각으로 줄이 3개 둘러져있으며‚ 다리미의 형태는 접시형태로 윗부분이 아랫부분보다 벌어져있고 바닥에는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선이 뻗어 나가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민족생활어 사전(한길사‚ 1997) <유사용어> 울두(?斗)‚ 복두(複斗)‚ 화두(火斗)‚ 다리우리‚ 고무(?沐)‚ 위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