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간돌도끼

추천0 조회수 3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간돌도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돌의 전면 또는 사용면을 갈아서 만든 도끼. <개설> 돌도끼는 둥근 자갈이나 몸돌‚ 혹은 큰 돌 조각을 때려 내어 다듬거나 갈아서 만든 도끼로‚ 석부(石斧)라고도 한다. 도끼의 사용은 구석기시대부터 시작되었는데‚ 크게 파편을 떼어내고 다듬은 `뗀돌도끼(타제석부; 打製石斧)`가 가장 오래된 돌도끼로서 다목적 도구로 쓰였다 <일반적 특징> 신석기시대에는 `간돌도끼(마제석부; 磨製石斧)`가 출현하게 되어 뗀돌도끼는 대체로 소멸하였으며‚ 보다 예리한 기형을 갖추게 되었다. 신석기시대 도끼의 변화한 기형은 식생대와 연관이 있어 신석기시대 초기에는 채집‚ 수렵을 통한 활동을 통해 식량을 구했던 반면에 중기에 접어들면서 `농사`를 짓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된 먹거리를 확보하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농경물과 더불어 곡식의 보관을 위한 토기가 제작되는데‚ 도구의 변화와 더불어 신석기시대의 변화된 양상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간돌도끼는 신석기시대에 매우 성행하여 청동기‚ 철기의 출현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었으나 철기의 완전한 보급과 함께 소멸되었다. 소형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필요 없는 부위를 떼어내서 만든 뗀돌도끼(打製石斧)와 구별된다. 한국 간돌도끼의 출현은 중국 동북지방의 신석기시대 석기문화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데 중국 동북지방 석기 또한 산둥[山東]반도의 룽산[龍山]문화에 의해 영향받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석기문화는 매우 광범위하게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에서 출토되는 간돌도끼의 종류는 형태 및 용도에 따라 조갯날돌도끼[蛤刃石斧]‚ 편평편인석부‚ 주상편인석부‚ 턱자귀[有段石斧]‚ 홈자귀[有溝石斧]‚ 바퀴날도끼[環狀石斧]류 등으로 구분된다. 조갯날돌도끼는 양쪽에서 날을 다듬은 조갯날 형태로 현재의 도끼 모양과 유사한데 단지 자루를 끼울 수 있는 구멍이 없다는 것이 다르다. 용도는 벌채용이다. 편평편인석부는 현재의 대팻날과 같은 형상으로 넓적하고 편평한 돌을 이용하여 한쪽 면에 날을 세운 형태이다. 용도는 목재 다듬기용이다. 주상편인석부는 단면이 정사각형의 기둥 모양으로 한쪽 면에 날을 세워 현재의 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되었다. 턱자귀는 머리 부분에 단을 만들어 자루를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단과 아래쪽 날을 다듬은 면은 항상 반대편에 위치시켜 자귀의 용도로 사용하였다. 홈자귀는 머리와 날 부위 사이에 홈을 파서 자루를 고정시키도록 한 것으로 턱자귀보다는 진일보된 형태이다. 용도는 턱자귀와 같으나 분포는 턱자귀가 주로 중국 동북지역과 한국 서북지역인 데 반하여 홈자귀는 한국 중남부 지역과 일본 규슈[九州]지역에 국한되어구들을 통해 선사시대인들은 자연의 변화에 순응해가며‚ 발전된 다음 시기인 청동기‚ 철기 시대로 변화할 수 있었다. 이 유물은 간돌도끼로서 대개 손아귀에 쥘 만한 크기의 타원형 자갈을 갈아서 만들거나 혹은 편편하고 납작한 파편을 갈아서 만들었다. 이러한 간돌도끼는 다양하게 이용되었는데‚ 전쟁‚ 수렵용 무기로 쓰이거나 나무를 벌채하거나 절단하는데 사용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문헌> 김원룡‚『한국고고학개설』‚ 일지사‚ 1986.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대백과사전』7‚ 웅진출판주식회사‚ 1991. 임효재‚『한국신석기문화』‚집문당‚ 2000. 舊石器의 名稱 및 形態分類 Ⅰ(鄭永和‚ 韓國考古 3‚ 1976)‚ 舊石器의 名稱 및 形態分類 Ⅱ(鄭永和‚ 嶺南史學 7·8합집‚ 1978). 있다. 특히 일본에서 출토된 홈자귀는 도작농경과 관련된 유적에서 목재농기구와 동반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일본 도작농경의 기원이 한국 남부지역임을 시사한다. 바퀴날도끼는 둥근 톱니바퀴의 중앙에 구멍을 뚫은 형태로 외부로 돌출된 톱니 모양에 따라 톱니날도끼(太頭石斧) ·바퀴날도끼로 구분되는데 생활도구라기보다는 무기나 상징품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구석기시대를 거쳐 신석기시대에 출현하게 된 간돌도끼는 폭넓게 이용된 보다 발전된 기형의 도구였다. 도구의 이용은 인류 문명의 발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발견인데‚ 이러한 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