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화백자운봉문항아리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화백자운봉문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중국에서 수입된 청색 안료를 이용하여 문양을 그려 넣고 유약처리를 하여 구워낸 백자항아리. <발달과정/역사> 조선백자는 아무런 무늬가 없는 순백자가 대부분이나 15세기경부터 청화백자(靑華白磁)가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17세기경부터는 주류를 이룬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백자란 순백색의 태토(胎土) 위에 투명한 유약(釉藥)을 씌워서 구워낸 자기로‚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를 이룬다. 백자의 표면색은 우유빛과 같은 유백색(乳白色)‚ 겨울눈과 같은 설백색(雪白色)‚ 약간 푸른기가 도는 청백색(靑白色) 등 다양한데‚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보통 15세기 백자가 유백색 계통이며‚ 16세기가 되면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19세기에는 푸른 기가 약간 도는 청백색으로 볼 수 있다. 항아리는 본래 아래위가 좁고‚ 배가 불룩 나온 오지그릇이다. 키가 작고 아가리가 넓으며 아래가 좁고 배가 몹시 부른 것이 특징으로 크기는 대·중·소의 여러가지가 있다. 항아리는 고추장류를 담그는 데 주로 쓰였고 쌀이나 잡곡을 저장하는 데도 쓰였다. <참고문헌> 삼성미술문화재단‚ 『조선백자전』Ⅱ‚ 1985 정양모‚ 『한국의 도자기』‚ 문예출판사‚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김재열‚ 『백자Ⅰ‚ 분청사기』‚ 예경‚ 2000 방병선‚ 『조선후기 백자연구』‚ 일지사‚ 200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