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항아리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순백색의 태토 위에 투명한 유약을 씌워서 번조한 자기항아리. <발달과정/역사> 백자는 철분 등 잡물이 없는 고령토로 그릇을 만든 후 맑고 투명한 유약을 씌워 환원 물로 구워 낸 고급자기로서 고려 초기부터 청자와 함께 일부가 만들어졌으며‚ 그 수법은 계속 이어져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고려 백자의 전통과 중국 백자의 영향을 받아 본격적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조선 백자는‚ 국초(國初)에 정책적으로 경기도 광주(廣州)에 사응원의 분원(分院)을 설치하여 관요(官窯)를 짓고 이곳에서 왕실용 백자를 제작하였다. 이 곳에서는 질이 좋고 아름다운 최고급 품의 백자를 만들었는데‚ 이 백자들이 분청사기와 함께 조선 전기 도자기의 주류를 형서 하였다.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출발한 조선은 새 나라의 이상에 걸 맞는 절제된 형태와 순백의 유색‚ 정결한 장식이 가해진 격조 높은 백자문화를 이루었는데‚ 초기에는 왕실 등 지배층의 취향에 맞추어 만들어졌지만‚ 점차 사용이 확대되고 일반화되어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자기로 자리를 굳혀 갔다. 백자는 장식기법과 장식에 사용되는 안료에 따라‚ 순백자‚ 음각‚ 양각‚ 투각‚ 상형‚ 청화‚ 진사백자 등으로 구분되며‚ 두 가지 이상의 기법이 함께 사용된 경우도 많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항아리는 본래 아래위가 좁고‚ 배가 불룩 나온 오지그릇. 키가 작고 아가리가 넓으며 아래가 좁고 배가 몹시 부른 것이 특징으로 크기는 대·중·소의 여러가지가 있다. 항아리는 고추장류를 담그는 데 주로 쓰였고 쌀이나 잡곡을 저장하는 데도 쓰였다 순백자는 다른 빛깔로 장식하지 않으나‚ 형태 자체에 변화를 주고‚ 부분적으로 장식물을 첨가하거나 혹은 투각(透刻)수법으로 무늬를 표현하는 수가 있다. 이 백자는 그릇 표면에 전혀 장식 무늬가 없고 백색의 단일색으로 된 것이다. 몸통이 길고 둥글다며 목도 길다. 아가리가 벌어져 있다. 목은 조금 깨여져 있다. 이러한 그릇은 조선 전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만들어졌으며‚ 대체로 포용력(包容力)이 있고 청초(?楚)해 보이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정양모‚ “조선 백자”‚ 대원사‚ 1998. "朝鮮白磁展 Ⅱ"‚ 호암미술관‚ 삼성미술문화재단‚ 198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