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기합

추천0 조회수 2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기합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운두가 높지 않고 둥글넓적하며 위에는 뚜껑이 있는 그릇. <발달과정/역사> 넓은 뜻에서 진흙으로 빚어 구워서 만든 모든 도구를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 토기란 그러한 도구들 중에서 용기류만을 일컫는다. 재료 및 제작방법 등이 토기와 비슷한 용기류 에는 석기(庠器)‚ 도기(陶器)‚ 자기(磁器) 등이 있다. 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생활용기는 식료채집경제(食料採集經濟)생활을 하던 구석기시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나무‚ 돌‚ 가죽‚ 동물뼈나 단단한 열매껍질 따위의 자연물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그것을 약간 가공해서 만든 것이다. 그러나 정착을 하고 농경‚ 목축 등의 식료생산경제(食料生産經濟)의 생활을 하게 된 신석기시대가 되면서 마제석기와 토기를 발명해 점차 발달하게 되었다. 토기를 발명하게 된 정확한 동기는 아직 분명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대체로 자연물로 된 기구를 흙으로 모방해 사용하다가‚ 다시 그것이 불로 구워지면 더 단단해진다는 것을 우연히 경험한데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광주리에 진흙을 발라 쓰던 용기가 우연히 구워져서 단단해진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토기가 발명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토기의 특징은 첫째‚ 토기는 석기(石器)‚ 금속기류와 달리 생활 주변에서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다. 둘째‚ 가소성(可塑?)이 있어 성형(成形)‚ 조정(調整)‚ 시문(施文) 등의 작업이 용이하다. 셋째‚ 굽는 방법에 따라 많은 변화를 줄 수 있으므로 돌‚ 금속 등 다른 재료에 비해 형태‚ 색상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넷째‚ 토기는 깨지기 쉽지만 새로 만들기도 쉽기 때문에 유적의 발굴 유물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다른 유물에 비해서 연대적 변화를 잘 보여주며‚ 소속 집단의 문화의식이 예민하게 반영된다. 그러므로 토기의 제작기술‚ 기종(器種)‚ 형태‚ 문양 등의 연구는 고고학적 연대의 편년이나 지역적인 문화의 차이를 추구하기 위한 단위로서 표지적(標識的)인 역할을 한다. <일반형태 및 특징> 신라시대의 토기로서 뚜껑이 있는 합(그릇)의 모양이다. 몸체는 짧고 위로 넓게 퍼져 있으며‚ 굽 역시 짧고 납작하다. 전체적으로 굽에 비해 몸체와 뚜껑이 큰 편이다. 뚜껑은 둥근 형태로 되어 있고‚ 위 부분에는 둥근형태의 뚜껑 손잡이가 달려 있다. 뚜껑과 몸체 모두 별다른 무늬는 없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1) 한국고미술의 이해(김원룡‚서울대출판부‚198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