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성시구

추천0 조회수 2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성시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화살통. 화살을 휴대하기 위해 담는 통. <발달과정/역사> 화살을 휴대하기 위하여 담는 화살통 중에서 방형이나 원형의 통상으로 된 것을 호록· 시통· 전통으로‚ 편평상의 물체로 된 것은 시복으로 부르기도 한다. 고대의 전사들은 활과 화살 외에도 이를 비나 눈으로부터 막기 위해 활을 넣기 위한 궁대와 화살을 넣기 위한 화살통을 하나씩 지녔다. 이유는 황리나 화살은 온·습도의 영향에 매우 민감하여 이와 같은 보호가 필요한 것으로 궁대나 화살통의 소재에는 주로 피혁이나 나무를 사용하였다. 화살통은 화살이 삽입되는 본체와 전용 허리띠부분‚ 그리고 현수장치 세부분으로 구성되며‚ 본체장식에는 곡옥형 금구가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산자형금구(山字形金具)는 철제로서 두께 0.2㎝의 철판을 이용해서 만들었다. 표면에 어떤 칠을 했는지 비교적 깨끗한 편이다. 남아 있는 편(片)을 볼 때 양쪽 앞쪽 끝 부분이 다소 좁아지는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면에는 철지금장제(鐵地金裝製)의 못이 엇갈리게 2열로 촘촘하게 박혀있으며 안쪽 면에는 가죽이 붙어 있다. 삼각형의 목판에 금동대판(金銅帶板)을 붙인 것이 있다. 이것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화살통의 맨 밑부분일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판의 두께는 0.2㎝정도이며 안쪽 면에 파상열점문이 일부 남아 있으며 여러 개의 못을 박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중원판상금구(中圓板狀金具)는 반파되었는데 중원부는 철지은장(鐵地銀裝)‚ 판상부는 철제이다. 중원부와 판상부의 연결은 혁대 위에 철지은장제의 못을 박아 맞붙인 것 같다. 안쪽면에는 가죽이 붙어 있다. 심엽형금구(心葉形金具)는 철지금장제로서 표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점선문대(點線文帶)가 돌려지고 그 안에 파상열점문이 베풀어져 있으며 점선문대의 내부에도 엇갈린 사선문대(斜線文帶)가 시문되어 있다. 금구의 가운데 양쪽에는 머리가 네모 모양의 큰 못이 하나씩 박혀 있으며 이 못의 끝은 철봉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 같다. 안쪽면에는 가죽이 두텁게 붙어 있다. 방형금구(方形金具)는 모두 철지은장제이며 각각 5개씩의 철지은장제의 못이 박혀 있으며 안쪽면에는 가죽이 두텁게 붙어 있다. 장방형철판(長方形鐵板)은 심하게 파손되었는데 표면에 3개의 못구멍이 보이며 안쪽면에는 가죽이 붙어 있다. 장방형대금구(長方形帶金具)는 철제인데 부식으로 인해 심하게 부서졌다. 표면에는 4개의 못을 모서리에 박았으며 가운데에 장방형의 혁대공(革帶孔)이 뚫려있고 안쪽면에는 가죽이 붙어 있다. 성시구의 일종인지 아닌지를 잘 알 수 없는 2점이 있다. 1점은 철지은장제의 테로서 표면에는 철지은장제의 못이 같은 간격으로 박혀있으며 안쪽 면에는 가죽이 붙어 있다. 나머지 1점은 철제의 교구소편(?具小片)으로서 성시구의 부속구일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 옥전고분군 Ⅲ"‚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