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대옹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대옹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큰 항아리. <발달과정/역사> 고고학에서 대호와 대옹은 그 구별이 어려운데 일반적으로 동체가 긴 타원형의 형태를 띠면 옹으로‚ 구형의 형태를 띠면 호로 분류한다. 대호는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사용된 기종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용 토기로 판단하고 있다. 대호는 청동기시대에는 대부분 주거지에서 출토되어 음식물을 저장하는 실용적인 용기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삼국시대에 들어서서는 무덤의 부장용품으로 확인되는 예가 많아서 그 기능상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는 아직 삼국시대의 생활유적이 많이 확인되지 않은 것에 기인하는 것도 있지만‚ 대호가 다른 토기들과 같이 의례용품으로 많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대호는 봉분이 남아 있는 고분에서는 내부에서도 출토되나‚ 봉분의 주위나 주구에 깨뜨려서 놓아두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봉분축조과정과 축조 후에 행해지는 장사의례의 결과로 판단된다. 가야지역에서의 대호는 초기에는 기고가 50cm 전후로 작은 것이 출토되다가 대형의 고총고분이 축조되는 시기가 되면 기고가 1m이상 되는 대형의 것이 출토되기도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아가리의 끝이 둥글게 처리되었으며 아래에 1줄의 돌대가 돌려져 있다. 목은 길고 부드럽게 바라졌으며 중간에 1줄의 침선이 돌려졌다. 목과 몸통의 경계는 뚜렷하며 어깨 부분에는 양쪽에 서로 대칭되게 유두형의 꼭지가 붙어 있다. 몸통은 약간 길며 몸통의 최대 지름이 중간에 있으며 바닥은 둥근데 약간 볼록하게 축약되었고 다소 찌그러졌다. 이물질이 붙어 있으며 회전물손질과 물손질로 마무리 하였다. 정선된 점토를 바탕흙으로 사용하였으며 크기에 비해 기벽이 얇다. <참고문헌>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옥전고분군Ⅱ"‚ 199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