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대벼루

추천0 조회수 5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대벼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먹을 가는데 사용하는 문방구. <발달과정 및 역사> 먹과 마찬가지로 벼루도 중국에서 처음으로 발명되어 사용되었다.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벼루는 가야 및 삼국시대의 도연(陶硯)이며‚ 통일신라 때는 연지(硯池) 외벽과 발에 조각이 된 벼루도 나타났다. 그런데 대체로 석연이 일반화된 것은 고려시대 이후라고 생각되는데‚ 현재 발굴되는 고려시대 무덤에서는 부장품으로 석제벼루가 많이 출토되고 있다. 글을 숭상하는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더욱 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벼루 역시 형태도 다양해지고 수요도 많아지게 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벼루는 보통 돌로 만들지만 와연(瓦硯)·도연(陶硯)·자연(磁硯)·이연(泥硯)도 있으며‚ 보석류나 금석류로도 만든다. 크기는 서당연처럼 큰 것에서부터 손가락만한 행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형태 또한 원형·4각형·6각형·8각형·타원형에서부터 여러 가지 물형(物形)을 본딴 구연(龜硯)·연화연·풍자연(風字硯)등 다양하다. 이 벼루는 비교적 대형에 속하는 직사각형의 벼루로 상면의 장식은 연 꽃잎 모양을 하고 있다. 위쪽에는 반원형 문양을 바탕으로 표현한 뒤 연밥과 연 꽃 그리고 연 줄기와 새 등을 돋을새김으로 장식하였다. 연잎의 꼭지 부분에는 세 갈래의 연 잎 갈래가 표현되었으며‚ 좌측상단에는 개구리로 추정되는 것이 솟아 있다. 앞면에는 훼손된 곳이 없으나 아무런 문양이 없는 뒷면에는 정으로 깨어낸 흔적이 보이는데 이것은 일부러 뒤에 적혀 있던 글자를 지우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빛깔 있는 책들-벼루>>‚ 대원사‚ 1989.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