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음각모란문대접

추천0 조회수 4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음각모란문대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청자대접 중에서 원하는 문양을 음각(陰刻)기법으로 장식한 것. <발달과정/역사> 청자(靑磁)는 철분이 극소량 들어 있는 태토 위에 철분 1-3%의 장석유(長石釉)를 바르고 환원염으로 구워 유약 속의 철분이 청록색으로 변한 자기를 말한다. 대체로 환원이 불충분하거나‚ 또는 불순물이 함유되거나 해서 유색(釉色)이 황녹색이나 회녹색‚ 때로는 산화되어 황갈색을 띤 것도 청자로 부르고 있다. 중국 절강성 북부의 월주요(越州窯)에서는 한대부터 원시적인 청자가 만들어졌지만 5-6세기경부터는 차츰 발전하여 제작지도 화남·화북으로 퍼져나갔으며 당나라를 거쳐 송대에는 절정을 이루어 청자요가 중국 각지에 있었다. 특히 복건성‚ 절강성‚ 광동성의 해안지역에서 많은 요지가 발견되었고 청대의 경덕진요에서는 송·명대 청자의 모조품제작이 성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청자의 발생은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말부터 중국 월주요에서 만든 원시청자인 고월자(古越磁)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다는 설과 10세기 후반에 고려의 중앙집권화 및 신지배층의 중국도자에 대한 수요에서 청자제작이 새롭게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낮고 좁은 굽에서 삿갓형으로 뻗어 올라간 몸체는 그래도 구연부를 형성하며 마무리 되는 형식이다. 구연부의 끝을 꽃잎 모양으로 조금씩 파내어 모두 여섯개의 잎을 가진 그릇으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외벽에는 꽃잎의 경계선을 약 3-4cm 정도 세로 모양으로 표현하였으며‚ 내면에는 이러한 구분 없이 구연부에서 약 1cm 정도 내려온 곳에 음각횡선문을 한 줄 돌려 구획한 뒤 그 아래쪽에 활짝 핀 목련꽃 두 송이를 양쪽에 대칭되게 배치 한 뒤 나머지 공간에는 다시 꽃줄기를 대칭되게 배치하였다. 내부 가운데에는 약 6cm 정도 되는 지름의 원형바닥이 자리잡고 있다. 전체적으로 목련꽃의 조각수법이 매우 사실적이고 화려해 귀중한 유물로 보이나 완전히 깨어진 것을 현재 수리복원한 상태라 아쉬움이 크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숭실대학교박물관도록>>‚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