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제기

추천0 조회수 2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제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백자로 만든 그릇. <발달과정/역사> 순백자는 아무 문양도 없는 순백의 백자를 말한다. 고려시대에는 음각문양의 백자가 초기부터 말기까지 지속적 되면서 가장 많고 12세기에는 양각‚ 반양각과 투각‚ 상형기법 등의 백자가 발전하여 전북 부안의 유천리 가마에서 많이 발견된다. 그러나 고려시대는 백자보다 청자의 생산이 압도적이었으며‚ 경질백자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발전하여 17세기 후반부터는 거의 백자 일색으로 그 중에도 순백자가 대부분이다. 이 백자제기는 제사에 쓰이는 그릇으로 제사에 쓰이는 그릇은 일상 생활에 사용되는 그릇과는 달리 만들어져 있다. 편을 담은 편틀은 네모로 크게 만들어져 쓰지 않을 때는 여러 개를 포개어 간수할 수 있다. 그리고 접시류는 둥근 모양에 밑으로 높은 받침이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사용의 그릇을 자기로 만든 예는 고려시대부터 있었지만 특히 조선에 와서 유교제례를 중시함에 따라 왕실이나 중앙관청‚ 지방의 향교 등에서 사용하기 위한 백자 제기들이 많이 만들어졌다. 제기는 일반적으로 나무·사기·놋쇠 등으로 만들어진다. 가볍고 운반하기 쉬운 나무로 만든 제기는 초기에 묘제(墓祭)에서 사용되다가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서 집안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 놋쇠제기는 부유한 계층에서 많이 사용했는데‚ 값도 비싸고 보존에 많은 인력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요즘에는 값싸고 보관하기도 쉬운 스테인레스로 만든 제기를 많이 사용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굽은 원통형이 아니라 안으로 약간 내경하는 형식으로 4cm 정도 올라간 뒤 반원형으로 살짝 외반하면서 거의 직립에 가깝게 올라가며 그대로 구연부를 형성한다. 그릇의 내외면은 아무런 문양도 없으며‚ 내면은 기벽과 바닥부분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 바닥을 형성하였다. 내면의 겉에는 검은색의 조그만 모래가 몇 개 묻어 있다. 그릇의 입술부분과 외면에는 흠집이 많이 보인다. 굽의 안쪽면은 속으로 깊게 파인 형식으로 굽 주위에는 내화토 흔적만 조금 남아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숭실대학교박물관도록>>‚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