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동합뚜껑

추천0 조회수 1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동합뚜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청동으로 만든 음식물을 담는데 사용한 그릇의 뚜껑. <발달과정/역사> 합은 음식을 담는 놋그릇의 일종으로 크기에 따라 큰합·중합·작은합·알합 등으로 불린다. 합으로는 주발 정도의 크기로 반상기 일습을 만들기도 하는데 이것을 합반상기라 한다. 합에는 국수장국·떡국·밥·약식·찜 등 따끈하게 먹는 음식을 주로 담았다. 조선 중기에는 합이 양반가를 비롯하여 일반 서민에 이르기까지 실생활 용구로 널리 쓰였다. 이에 따라 늘어난 놋그릇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전통적 유기제작법인 방짜기법 외에 손쉬운 주물기법으로도 합을 만들었는데 부유한 양반가에서는 방짜합을 많이 사용하였고‚ 일반 서민들은 흔히 주물합을 사용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청동합의 뚜껑부분으로 전체적인 형태는 반원형이다. 뚜껑의 드림 등은 보이지 않으며‚ 그냥 일자로 끝나버린다. 정가운데에 1cm 정도의 작은 원형꼭지가 붙어 있는데 이것을 중심으로 약 2cm 떨어진 곳에 5mm 간격으로 가는 음각선문을 두 줄 돌렸으며 여기서 다시 1cm 정도 떨어진 곳에서부터 각을 이루며 아래로 급격히 내려간다. 입술에서 약 1cm 떨어진 곳에서 다시 한번 각을 이룬 뒤 입술 끝부분에서 약 2mm 넓이로 한번 말아서 마감하였다. 전체적으로 외면에는 녹이 조금 묻었으며‚ 내면에는 녹이 많이 묻었으나 대체적으로 보존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숭실대학교박물관도록>>‚ 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