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인화문뚜껑

추천0 조회수 2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인화문뚜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그릇을 덮는 제구(諸具). <발달과정/역사> 굽다리접시의 경우 4세기 후반 경에 뚜껑이 있는 굽다리접시[유개고배(有蓋高杯)]가 유행하였으며 뚜껑이 있는 합[유개합(有蓋盒)]은 7세기에 출현하여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다. 뚜껑은 그릇을 덮는 도구로‚ 굽다리접시와 합(盒)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굽다리접시의 경우‚ 4세기대에는 뚜껑이 없는 굽다리접시[(무개고배(無蓋高杯)]가 유행하였으나 4세기 후반경에는 뚜껑이 있는 굽다리접시[유개고배(有蓋高杯)]가 출현한다. 이 굽다리접시뚜껑은 5세기대에 들어오면서 크게 발전하여 뚜껑이 없는 굽다리접시보다 비중이 높아진다. 신라 지역의 굽다리접시뚜껑은 굽다리형 손잡이가 부착되고 기하학적 무늬가 새겨지며‚ 가야 지역의 굽다리접시뚜껑은 단추형의 꼭지가 달리고 애벌레무늬[유충문(幼蟲文)]가 찍혀있다.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의 굽다리접시뚜껑은 화려한 인화문(印花文)으로 장식되며 갈색 혹은 녹색의 유약(釉藥)을 입혀 장식성을 높인 것도 있다. 뚜껑이 있는 합의 경우‚ 7세기대에 출현하여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다. 통일신라말에는 뚜껑에 보주형이나 굽형의 손잡이가 달리고 다양한 인화문이 찍히게 된다. 이때도 갈색 혹은 녹색의 유약을 입히기도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여기에 소개하는 인화문뚜껑은 인화문이 시문되어 있을 뿐 아니라 연유(鉛釉)가 시유되어 있어 특징적이다. 연유는 유약(釉藥)의 일종 일반적으로‚ 약 700℃에서 800℃ 부근에서 녹는 저화도(低火度) 유약을 말한다. 몸체의 상부(上部)와 하부(下部)에 반원문(半圓文)과 비슷한 말발굽형의 종장연속문(縱長連續文)이 시문(施文)되어 있고 중심에는 동심원문(同心圓文)이 시문되어 있다. 드림부는 얕으며 안턱도 얕게 마련되어 있고 안턱에서 이상재(離床材)의 흔적이 확인된다. 이상재는 토기를 가마에서 구울 때‚ 토기와 토기 또는 가마와 토기가 서로 붙지 않도록 받치는 초본류(草本類)‚ 모래‚ 토기편(土器片)‚ 소할석(小割石) 등을 일컫는다. 이 인화문뚜껑에는 여러 이상재 중에서 초본류의 흔적으로 보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