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그물추

추천0 조회수 1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그물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그물에 매달아서 물속에 가라않게 하는 어로도구. <발달과정/역사> 어망추(漁網錘)라고도 한다. 그물추는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의 집터‚ 조개무지 등에서 확인되고‚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에는 집터와 조개무지‚ 고인돌‚ 그리고 역사시대에서는 성터 등 여러곳에서 출토되고 있지만‚ 인간생활의 근거지인 집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어로생활과 관련이 있는 유물이기 때문에 주로 강가나 해안의 유적에서 많이 발견된다. 그물추의 모양은 흙이나 돌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빚거나 갈아서 가운데에 그물을 맬 수 있게 구멍을 뚫어 놓았다. 그물추에는 신석기 시대에 유구석추(有溝石錘)‚ 토기편추(土器片錘)‚ 절목석추(切目石錘)‚ 양자강형토추(揚子江形土錘) 등이 출토되며 청동기 시대에는 유구석(有溝石)‚ 토추(土錘)‚ 토기편추‚ 절목석추‚ 관상토추(管狀土錘)‚ 원판형토추(圓板形土錘)등이 나온다. 철기시대에는 유구토추‚ 절목석추‚ 관상토추 3종이 있다. 그 밖에 유공석추(有孔石錘)‚ 납작한 자갈의 양끝을 떼어낸 역석추 등이 있으며 이들 그물추의 모양은 그 이후 삼국시대는 물론 오늘날까지도 유사하다. <일반적인 형태와 특징> 여기에서 소개하는 그물추는 관상토추(管狀土錘)이다. 관상토추는 아래 위를 관통하는 구멍이 있으며 흙을 구워 만든 그물추이다. 그 형태는 세형관상(細形管狀)‚ 통형관상(筒形管狀)‚ 구형관상(求形管狀)이 있는데 여기서 소개되는 그물추는 구형관상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구형(球形)으로 중앙에 원형(圓形)의 구멍이 뚫어져있고‚ 외면에 전체적으로 십자(十字)로 홈이 마련되어 있다. 점점이 녹황색(綠黃色)의 자연유[自然釉-소성재(燒成材)의 재가 녹아 붙어 유리질막(琉離質膜)]이 관찰된다. 청회색(靑灰色)을 띠는 경질토제품(硬質土製品)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