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철모

추천0 조회수 2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철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짐승 ·사람을 찌르거나 베는데 쓰는 무기. <발달과정/역사> 철모(鐵矛)는 고구려(高句麗) 벽화(壁畵) 고분(古墳)에서 보이듯이 보병과 기마병의 가장 보편적인 무기로 사용되었으며 고분에서 출토하는 것은 대체로 유기질로 된 자루 부분은 사라지고 날끝만 남아 있다. 출현 초기에는 청동모의 형태를 계승한 철모의 형태(창원다호리 1호 출토품)와 중국의 전국계의 영향이 함께 공존하였다. 2세기대 변진한 지역에서 이단병부(二段柄部)철모가 독자적으로 제작되고‚ 3세기대에는 장신의 판상철모(板狀鐵矛)에 궐수문(蕨手文)이 장식된 철모가 성행하였다. 그러나 이후 4세기 전반부터 단면 마름모꼴에 자루끝이 제비꼬리 모양인 실용철모가 등장하여 삼국시대(三國時代)까지 계속하여 사용하게 되는 데 이는 철촉의 변화‚ 철제 갑주의 등장과 더불어 우리나라 고대 무기체제에서 하나의 큰획기를 이루는 것으로 모(矛)를 소지한 전사자가 주력부대로 등장한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여기서 소개하는 철모(鐵矛)는 전체가 부식으로 인해 부풀어 있고‚ 균열이 확인된다. 모신(矛身)의 날이 일부 결손(缺損)되었다. 신부(身部)는 모부(鋒部)에서 내려오면서 넓어지다가 관부(關部)를 이루고 좁아졌다가 다시 벌어지면서 공부(?部)로 이어진다. 공부의 단면(斷面)은 원형(圓形)이고‚ 끝부분은 제비꼬리[연미형(燕尾形)]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