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바리모양토기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바리모양토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아가리가 약간 외반되고 바닥이 납작한 그릇. <발달과정 및 역사> 삼국(三國)이 정립되기 이전 부족사회(部族社會) 또는 족장사회(族長社會)의 형태로서 여러 작은 나라들이 있었던 때‚ 다시 말해 마한(馬韓)·진한(辰韓)·변한(弁韓) 이라는 삼한(三韓)이 존재했던 때가 있었는데 이 시기를 고고학에서는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라고 부른다. 연대상으로는 기원전후부터 서기 300년까지가 이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가 되면 종래의 민무늬토기 전통의 바탕 위에 한식(漢式)토기의 영향으로 새로운 토기문화가 나타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회백색의 와질토기(瓦質土器)이다. 회백색의 와질토기는 그 형태의 변화에 따라 전기와 후기의 2기로 나뉘어 지는데 전기에는 민무늬토기의 형태를 계승한 주머니단지‚ 쇠뿔손잡이항아리‚ 짧은목항아리 등이 성행하며 후기에는 굽다리가 붙고 토기‚ 뚜껑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화로형토기‚ 뚜껑있는굽다리항아리‚ 굽다리접시 등이 나타나 삼국시대의 토기와 연결된다.바리모양 토기(鉢形土器)는 한반도 동북지방의 신석기시대 무늬토기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청동기시대에 이르면 가장 많이 나타나는 토기이다. 원삼국기 발형토기의 깊이는 이전 보다 줄어들고 전체적으로 소형화 된다. 이 시기의 바리모양토기는 주로 음식물을 담는데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동북지방과 서북지방에서 나오는 바리모양토기는 손잡이를 붙인 형태도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여기에서 소개하는 바리모양토기는 구연이 짧게 외반(?反)하는 와질토기이다. 내외면의 표면 색조는 회흑색(N 4/0)이고‚ 소성도(燒成度)는 낮은 편이다. 태토(胎土)는 미세한 사립(砂粒)을 첨가한 정선된 점토로 속심의 색조는 회백색(5Y 7/2)이다. 동체의 중상위(中上位)부터 구연(口緣)까지는 회전물손질 마무리하였다. 중하위 부분과 저부쪽은 깎기 조정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