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대완구(?碗口)

추천0 조회수 5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대완구(?碗口)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 대완구는 1965년 1월 18일 국립박물관에서 대여해 준 것으로 조선시대 공수성용(攻守城用)의 화기로 보물 제857호이다. 이 대완구는 1845년(헌종11) 8월에 화포장 유희준(柳喜俊)과 김형업(金亨業)에 의하여 청동으로 주조된 것이며‚ 총길이 64.6cm 혈장이 53.5cm 포구지름이 26.3cm 포구외경이 37.5cm 후경이 22.8cm로서 대완구로는 유일하게 전한다. 그 체형이 매우 소담스럽고 장중하게 보이며‚ 듬직하게 퍼진 포구 외부로는 구연대(口緣帶)를 제외한 죽절이 모두 5조(後)가 시조(施條)되었다. 이 대완구의 약실표면에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는데‚ 헌종 11년(1845)8월에 훈련도감에서 감동관 2명을 비롯해 소로(燒爐)와 수철장(水鐵匠)‚ 그리고 현자(?字)와 황자총통(黃字銃筒)에 이르기까지 명시하고 있다. 이 대완구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유물일 뿐 아니라 문헌과 비교‚ 연구할 수 있는 국방과학기술문화재로 높이 평가 인정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