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벼루집

추천0 조회수 10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벼루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문방사우 중 필묵(筆墨)을 보관하는 가구.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표준치수는 높이 16∼30㎝‚ 앞폭 32∼42㎝‚ 옆폭 20∼30㎝이며. 기본형태는 장방형으로 2단을 만들며‚ 하단은 평면의 널이 4각(四脚)을 끼우고 사방이 트인 시원한 공간을 만들고 있다. 상단은 뚜껑 1개 혹은 2개를 덮게 하고 그 내부에 벼루를 보관한다. 경우에 따라 서랍이 하나 있어 먹과 붓을 넣게 되어 있다. 연상은 사랑방 보료 앞에 놓고 서안과 더불어 애용되고 있다. 상단에 뚜껑이 없이 벼루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연상도 있는데 이는 연대(硯臺)라 하며‚ 상단 주위에는 벼루가 노출되고 소반의 전과 같이 얕은 변이 아름답게 둘려 있다. 또‚ 해주반(涇州盤)과 같이 네 다리 없이 양측에 판각을 만들어 투각장식한 형태도 있으며‚ 문갑이나 서안의 높이와 비슷하게 하여 문갑과 서안을 겸용하게 한 연상도 있다. 재료로는 은행나무·소나무·먹감나무가 가장 많이 쓰였으며‚ 중국의 화류목(樺榴木) 투각장식의 연상과 나전칠기 연상 등은 매우 화려한 고급품이 된다. 그리고 고귀한 선비의 품격을 높여 주는 죽제 연상도 많다. 재료를 더 세분하면 서랍 부분에는 오동나무를 많이 썼고‚ 외부의 판재는 결이 고운 은행나무나 먹감나무‚ 기타 재목에 옻칠을 곱게 한다. 서랍의 무쇠고리 외에 금구장식은 거의 없으며‚ 하단에 풍혈장식(風穴裝飾 : 가장자리를 돌아가면 잘게 새겨 붙이는 꾸밈새)이 보인다. 후기의 것으로 보이는 연상에는 뚜껑과 서랍면에 모란·십장생·운학(雲鶴) 등의 돋을새김장식이 있는 것이 많고 대체로 나뭇결 무늬의 소박미를 그대로 살리고 있다. 판의 연결은 연귀짜임(귀끝을 모지게 엇벤 짜임)이 주가 되며 대나무못을 썼고‚ 뚜껑의 변두리는 통판도 있지만 문갑 등의 문판과 같이 4면에 문변자(門邊子 : 문짝의 좌우상하에 이어 댄 테두리나무)를 만들어 복판을 골재에 끼워 맞추는 턱솔짜임으로 되어 있다. 이 연상의 상단에는 벼루침이 있고‚ 아무런 문양도 장식되지 않은 두짝 뚜껑이 있으며 그 밑은 네 기둥이 받치면서 위쪽에 길다란 서랍이 설치되었다. 그 아래는 붓이나 지필묵을 넣을 수 있도록 바람구멍이 투공되었고‚ 네 귀퉁이 밑에 짧은 족대가 나와 바닥에서 띄어주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