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앵커

추천0 조회수 87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앵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배를 한곳에 머물러 있게 하기 위하여 밧줄이나 쇠줄에 매어 물에 던지는‚ 쇠나 나무 따위로 만든 무거운 물건 <발달과정/역사> 1963년 5월 미국에서 도입한 한국 최초의 구축함(驅逐艦)인 충무함(忠武艦)에서 사용하였던 장비이다. 앵커의 종류로는 스톡(Stock) 앵커와 스톨리스(Stockless) 앵커가 있다. <제원> 전장 21m‚ 전폭 1.5m‚ 무게 4‚000LBS * 구축함(驅逐艦‚ destroyer) : 다양한 작전 임무를 수행하는 중장비를 갖춘 소형의 쾌속 해군함정. 어뢰로 적의 대함(?艦)을 공격하는 것이 주 임무였다. 구축함은 19세기 말 어뢰가 발달하여 수뢰정(水雷艇)이 중요시되자 그것을 구축 격퇴하는 동시에 자신도 어뢰공격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1893년 영국에서 건조(建造)된 것이 최초이며‚ 이름도 수뢰정 구축함(torpedo-boat destroyer)이라 하였으나 뒤에 구축함으로 개칭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각국 해군이 해상전투에서 적함대에 대하여 어뢰공격을 할 때 또는 신속한 이동으로 적함대의 정확한 포격을 교란시킬 때 이용하였으며‚ 적 항공기·잠수함으로부터 함대·선단을 방호하는 데도 사용하였다. 이 밖에 기뢰부설·초계(哨戒)·포격·수송임무까지 맡았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선단을 호위하기 위하여 종래 구축함보다 작은 호위구축함(destroyer escort)까지 나타났다. 처음 등장했을 때는 배수량이 320t 안팎이었으나‚ 오늘날은 최대 4‚000t이 넘는 것도 있다. 보통은 1‚500~2‚600t‚ 길이 95~140m‚ 시속 30~37kn‚ 140~350명의 장병이 탑승한다. 어뢰·폭뢰(爆雷)·소구경포(小口徑砲)·미사일·수중청음기(水中聽音機) 등으로 무장되어 있으나 장갑은 비교적 얇은 편이다. 오늘날은 뇌격목표(雷擊目標)가 되는 대함이 적어짐에 따라 주로 함대·기동부대로서 선단의 대공·대잠 방호임무를 맡게 되고‚ 함체도 대형화하여 3‚000 t이 넘는다. 나라에 따라 프리깃·호위함·대잠함(對潛艦) 등으로 호칭되고‚ 구축함이라는 이름은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 스톡 앵커(stock anchor)와 스톡리스 앵커(stockless anchor) 스톡 앵커는 평면에서 보면 앵커 섕크와 앵커 스톡이 직교하고‚ 스톡이 물 밑에 옆으로 놓이는데‚ 이것과 직각을 이루는 앵커 암과 끝의 빌이 해저에 깊게 파고 들어가 묻히므로 파지력이 크다. 대형의 것은 취급방법과 선내에 격납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외형이 십자(十字) 모양으로 보이기 때문에 십자묘라고도 하며‚ 돛단배·소형선에 사용된다. 스톡 앵커의 무게는 스톡을 제외한 계산 무게인데‚ 닻 무게의 1/4 이상이어야 한다고 선박설비규정에 명시되어 있다. 스톡리스는 19세기에 고안된 것으로 스톡이 없으며‚ 양쪽에 있는 빌이 동시에 파지력을 가짐으로써 암은 섕크에 대하여 어느 각도까지 회전한다. 섕크가 물 밑에 옆으로 놓였을 때 빌은 약 45°각도로 토사에 박힌다. 스톡리스 앵커는 대빗이나 앵커 베드의 설비가 필요 없으며‚ 취급과 격납이 간단하므로 묘쇄공(hawse pipe)에 끌어넣으면 된다. 따라서 항해 중에도 묘쇄공에 격납되어 있으므로‚ 떨어질 염려가 없고‚ 손을 댈 필요가 없다는 등의 이점 때문에 오늘날 대형선(군함 포함)은 거의가 스톡리스 앵커를 사용한다. 외형상 산자(山字) 모양인 이 앵커의 무게는 계산 총무게인데 섕크를 제외한 무게는 총무게의 3/5 이상이어야 한다고 선박설비규정에 명시되어 있다. * 함정(艦艇) : 크고 작은 군함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