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Alouette -Ⅲ 헬기 (모형)

추천0 조회수 9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Alouette -Ⅲ 헬기 (모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잠수함(潛水艦)과 수상함(水上艦)의 탐색(探索) 및 공격용 헬기 <발달과정/역사> 프랑스 AEROSPATIALE사에서 제작한 헬기로‚ 한국 해군에서는 1977년 최초 도입하여 해상작전 헬기로 운용하였으며‚ 주임무는 잠수함 및 수상함에 대한 탐색 및 공격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특징은 좁은 공간에 격납(格納)이 가능하도록 MAIN ROTOR를 접을 수 있다. 또한 경량(輕量)의 기체에도 불구하고 대함레이더‚ 잠수함 탐지장비‚ 어뢰(魚雷) 및 공대함 유도탄 등의 탑재가 가능하여 다목적으로 이용되었으나 노후(老朽) 되어 1994년에 퇴역(退役)하였다. 승무원(乘務員)은 2명이고 최대 속력은 218.5km/hr이다. <제원> 기장 : 10m‚ 기폭 : 2.6m‚ 기고 : 3.0m‚ 최대이륙중량 : 2‚250kg * ROTOR(회전날개) : 회전익항공기(헬리콥터)에 있어서 양력(揚力) 또는 추력(推力)을 얻기 위하여 기체의 위쪽에서 회전하는 날개. 헬리콥터·오토자이로(autogyro) 등에 있어서 가늘고 긴 날개 단면을 가진 2~6매의 날개를 허브(로터중심대)에 결합시키고 이것을 1~2개 기체의 위쪽에 대략 수평으로 장치한다. 회전날개의 각 날개에 각도를 주어 회전시키면 양력이 발생하지만 헬리콥터의 경우는 날개의 회전축을 경사시킴으로써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전진력(추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보통의 고정익기와 같거나 그 이상의 능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주로 양력과 추력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주 회전익이라고 하며‚ 이 밖에도 동체의 회전을 막거나 방향을 바꾸어주는 구실을 하는 보조회전익이 있으며‚ 이것을 꼬리회전익·토크(torque)평형회전익이라 한다. * 어뢰(魚雷‚ torpedo) : 자동장치에 의해서 물 속을 전진하면서 군함·잠수함 등을 폭발하는 폭탄. 어형수뢰(魚形水雷)의 약칭이다. 세계 최초의 자주어뢰는 1866년 오스트리아 해군의 G.루피스가 영국인 기사 R.화이트헤드의 협력으로 발명하였다. 그 당시의 것은 압축공기를 동력으로 한‚ 길이 3.35m‚ 지름 36cm의 크기에 다이너마이트 8kg을 작약으로 사용하였고‚ 6kn의 속력과 640m의 사정거리를 가졌다. 그 후 1세기 동안에 추진기관·자동조타(自動操舵)·심도유지·작약·신관·자동명중방식 등에 큰 발전을 이룩하였다. 99년 오스트리아의 L.오브리에 의해서 자동조타장치가 발명되었고‚ 1904년 미국의 F.W.블리스에 의해서 연료를 압축공기로 연소시켜‚ 이것에 물을 뿜어서 증기와 연소가스의 혼합체를 만들어‚ 피스톤?터빈을 회전시키는 가열장치가 발명도 치명적이다. 함정 탑재용은 지름 53~61cm‚ 길이 7~8.5m‚ 시속 35~50kn‚ 사정거리 4‚000~40‚000m‚ 작약량 300~500kg이고‚ 항공기 탑재용은 지름 45~57cm‚ 시속 40kn‚ 사정거리 2‚000~4‚000m‚ 작약량 100~200kg로서 소형으로 된 것이 보통이다. 됨으로써 항속력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어뢰 성능이 1900년 초에는 시속30kn‚ 사정거리 4‚000m‚ 작약량 50~80kg 정도로 되었고‚ 제1차 세계대전 때는 시속 35kn‚ 사정거리 6‚000m‚ 작약량 150kg로 향상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때 일본군이 개발한 93식·95식 어뢰에는 산소를 연료로 하여 항적(航跡)을 남기지 않고 시속 36~49kn의 속력으로 3만~4만m의 항주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어뢰는 주로 잠수함 공격에 쓰이게 되면서 소형화되고 항속력도 크지 않게 되었다. 오늘날 어뢰의 대부분은 스스로 표적을 포착·추적하는 자동명중방식(호밍 방식)과 유선에 의한 지령유도방식을 이용한다. 수상함정·잠수함·항공기 등에서 발사되며‚ 자주력(自走力)에 의해서 일정한 깊이를 항주(航走)하여 표적에 명중하도록 되어 있다. 함포에 비해서 발사장치가 간단하고‚ 대부분 함선의 밑부분에 명중하므로 거대한 함선에 대해서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