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초상화 : 정기룡(鄭起龍)

추천0 조회수 6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초상화 : 정기룡(鄭起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시대 호국인물‚ 정기룡(鄭起龍) 초상화 <발달과정/역사> 조선(朝鮮) 중기의 의병장인 정기룡(鄭起龍)의 초상화로‚ 전쟁기념관의 호국인물 현양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전쟁기념관에서는 역대 전쟁?전란에 참전하여 국가를 구하였거나 전투를 승리로 이끌게 하는 등 특별한 공훈을 남겨 국민의 귀감이 되는 호국 선열들을 선정하여 호국인물이라 하였고‚ 그 인물의 모습을 흉상‚ 초상화 등으로 제작하였다. 정기룡(鄭起龍‚ 1562-1622)은 자는 경운(景雲)‚ 호는 매헌(梅軒)‚ 시호는 충의(忠毅)‚ 초명은 무수(茂壽)‚ 곤양정씨(昆陽鄭氏)의 시조이다. 1580년(선조 13) 고성에서 향시에 합격하고‚ 1586년 무과에 급제한 뒤 왕명으로 개명하였다. 1590년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신립(申砬)의 휘하에 들어가 훈련원 봉사(?事)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별장(別將)으로 승진하여 우방어사 조경(趙儆)을 따라 종군‚ 거창에서 왜군을 격파하고 금산싸움에서 포로가 된 조경을 구출한 뒤 곤양의 수성장(守城將)이 되었다. 유병(遊兵)별장을 거쳐 상주판관(尙州判官)으로 왜군과 대치?격전 끝에 상주성을 탈환하였으며‚ 1593년 전공으로 회령부사(會寧府使)에 승진하고 이듬해 상주목사로 통정대부(通政??)에 올랐다.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이 일어나자 토왜대장(討倭?將)이 되어 고령에서 적장을 생포하는 한편 성주?합천?초계?의령 등을 탈환하고 경상우도병마절도사에 승진‚ 이어 경주?울산을 수복하였다. 1598년 명나라 군대의 총병직(摠兵職)을 대행하여 영남 방면의 왜군 패잔병을 소탕하고 용양위(龍讓衛)부호군이 되고 이듬해 경상우도병마절도사에 재임되었다. 1601년 경상도방어사?김해부사?밀양부사를 거쳐 중도(中道)방어사에 오르고‚ 뒤에 용양위부호군 겸 오위도총부총관?경상좌도병마절도사 겸 울산부사가 되었다. 1610년(광해군 2) 상호군(上護軍)에 승진‚ 1617년 3도통제사 겸 경상우도수군절도사에 올라 통영 진중에서 병사하였다. 상주의 충렬사(忠烈祠)에 배향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알루미늄 테두리를 한 합판 액자에 유화로 그린 초상화가 알루미늄판 배접으로 부착된 형태이며‚ 하단에 공적 설명문이 지사벽지에 실크인쇄되어 있다. 정기룡의 얼굴 모습은 영정 및 관련자료‚ 종중인사 등을 바탕으로 하였고‚ 복장은 두정갑주를 표현하였다. <제원> 액자 규격 - 가로 : 45.5cm‚ 세로 : 76cm‚ 초상화 - 가로 : 45.5cm‚ 세로 : 45c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