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흉상 : 이순신(李舜臣)

추천0 조회수 6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흉상 : 이순신(李舜臣)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시대 호국인물‚ 이순신 흉상 <발달과정/역사> 조선(朝鮮) 중기의 장군(將軍)인 이순신의 흉상(胸像)으로‚ 전쟁기념관의 호국인물 현양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전쟁기념관에서는 역대 전쟁?전란에 참전하여 국가를 구하였거나 전투를 승리로 이끌게 하는 등 특별한 공훈을 남겨 국민의 귀감이 되는 호국 선열들을 선정하여 호국인물이라 하였고‚ 그 인물의 모습을 흉상‚ 초상화 등으로 제작하였다. 이순신(1545. 4. 28 - 1598. 12. 16)은 본관이 덕수(德水)‚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 서울 출생이다. 1576년(선조 9) 식년무과(式年武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권지훈련원봉사(權知訓練院?事)‚ 동구비보권관(董仇非堡權管)‚ 발포수군만호(鉢?水軍萬戶)‚ 건원보권관(乾原堡權管)‚ 훈련원참군(訓鍊院參軍)‚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 등을 지냈다. 1589년 선전관(宣傳官)?정읍현감(井邑縣監) 등을 지내다가 1591년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절충장군(折衝將軍)?진도군수 등을 지내고 같은 해 전라좌수사(全羅左水使)에 승진‚ 군비 확충에 힘썼다. 1592년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전라좌수사(全羅左水使)로서 수군(水軍)을 이끌고 옥포(??) · 당포(塘?) · 한산도(閑山島) · 부산(釜山) · 명량(鳴梁) · 노량(露梁) 등지에서 일본군(日本軍)을 격퇴하였다. 그후 1598년 12월‚ 노량해전(露梁涇戰)에서 명나라 제독 진인(陳璘)의 수군과 연합작전을 펼쳐 싸우던 중 적의 유탄(流彈)에 맞아 전사(戰死)하였다. 1604년 조정에서 이순신의 전공을 높이 평가하여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 덕풍부원군(德豊府院君)이 추봉하였고‚ 좌의정(左議政)이 추증하였다. 이후 1613년(광해군 5)에 영의정(領議政)으로 추증되었고‚ 충무(忠武)의 충렬사(忠烈祠)‚ 여수(麗水)의 충민사(忠愍祠)‚ 아산의 현충사(顯忠祠) 등에 배향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오석 좌대 위에 청동 주물로 제작된 흉상이 설치된 형태이며‚ 이순신의 얼굴 모습은 아산 현충사 소장의 표준영정을 바탕으로 하고‚ 복장은 당시의 전라좌수사가 입었던 두정갑주를 표현하였다. <제원> 흉상 높이 : 90cm‚ 오석 좌대 높이 : 140c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