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필통(筆筒)

추천0 조회수 3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필통(筆筒)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붓을 꽂아 세워두는 통. 자주 사용하는 몇 개의 붓을 놓아두는 것으로 붓에 딸린 기물로서 문방필수품에 속한다. <일반사항 및 특징> 붓통은 붓의 역사와 함께 발명‚ 발전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직경이 10cm가 넘는 통대가 생산되는 중국에서는 대 표면에 죽림칠현(竹林七賢)·산수·누각·선인(仙人) 등을 조각·부조한 것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삼국시대의 붓은 남아 있지 않으나 벼루가 많이 남아 있어 붓과 함께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칼과 붓의 집은 나무로 깎아서 세 칸이 되게 하여 한 칸에는 붓을 나머지 두 칸에는 칼을 꽂아 그것을 찼다는 기록이 <고려도경>에 전해지고 있으며 이때부터 휴대하고 다니면서 붓이 널리 사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붓은 조선시대 말엽까지 필기도구의 중심역할을 하게 되었다. 붓통이 현재 남아 있는 유물로는 조선시대 이후의 것이 많다. 우리나라는 굵은 대가 생산되지 않아 높이가 다른 통대 2∼5개를 붙여 형제필통이라 부르며 애용하였다. 화가들은 종이를 말아 여러 개의 대롱을 만들어 이들을 나란히 붙여서 원통형을 만들어‚ 그 위에 채색화로 장식하고 바닥에는 나무를 대어 필통을 만들었다. 이러한 방법으로서 서너 개를 붙인 형제필통도 만들어 종이 대롱 구멍에는 채색용 극세필을 꽂고 중앙의 큰 통에는 굵은 붓을 담아 많은 붓을 관리하였다. 붓통은 주로 원통이 주류를 이루었고 6각‚ 8각‚ 화형‚ 3∼5개의 통이 붙어 있는 것이 있다. 재질은 주로 옥석·대나무·나무·자기·상아·나전·화각 등이 있으며 목제‚ 죽제‚ 도제가 주를 이룬다. 필통제작은 소반·장·농 등 가구를 만들던 소목장(小木匠)이 맡았으며‚ 사용자가 직접 만들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조선시대문방제구(국립중앙박물관‚ 통천문화사‚ 1992) 한국의 전통공예기술(정영호‚ 최몽룡‚ 천혜봉‚ 김동현외‚ 한국문화보호재단‚ 1997) 문방사우(이겸노‚ 대원사‚ 1993) 한국의 민속공예(맹인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9) 한국의 목공예(박영규‚ 범우사‚ 1997) 한국의 목공예(이종석‚ 열화당‚ 1986)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