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흑상감당초문(白磁黑象嵌唐草文)대접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흑상감당초문(白磁黑象嵌唐草文)대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상감이란 금속 ·도토(陶土) ·목재 등의 소지(素地) 표면에 여러 무늬를 새겨서 그 속에 같은 모양의 금 ·은 ·보석 ·뼈 ·자개 등 다른 재료를 박아넣는 공예기법. <일반사항 및 특징> 상안(象眼) ·상감(相嵌) ·전감(塡嵌) ·꽂을땜 ·봉박이 등의 비슷한 말이 있다. 기법에 따라 표면이 같은 평(平)상감‚ 표면이 두드러진 고(高:高肉)상감‚ 앞뒤가 같은 모양이 되도록 뚫어서 박은 절(切)상감‚ 실 같은 가는 선의 무늬를 박아넣는 사(絲:鐵絲)상감‚ 천의 올무늬와 같은 줄을 파서 금속을 그 속에 박아넣는 천무늬상감[布目象嵌]‚ 작품의 표면에 흠집을 만들고 거기에 옻[漆]을 사용해서 금박 등을 박아넣는 소입상감(銷槽象嵌) 등이 있다. 이들 상감은 거의 철 등의 소지에 금 ·은 등의 금속을 박아넣는 금속상감에 쓰는 기법이다. 상감의 기법은 유럽에서 비롯되어 초기에는 목각품에 자개를 박아넣거나 골각석기(骨角石器)에 보석을 박아넣기도 하였다. 미케네에서 출토된 단검‚ 이집트 신왕국시대의 단검에는 그 검신(劍身)에 평상감 ·사상감을 한 것이 있고‚ 북유럽에서도 청동기시대에서 초기 철기시대에 걸친 상감기술은 특히 발달되어 있었다. 이 유물은 고려 백자의 계통을 이은 작품으로 태토는 석고와 같은 질감이고 기벽(器壁)은 얇다. 유약은 얇게 입혀져 있어 부드럽고 세밀한 빙렬(氷裂)이 있으며 고운 비단결 같은 질감을 준다. 몸체의 중심부에는 단순화한 연꽃 무늬를 큼직하게 나타내고‚ 파상(波狀)의 당초절지(唐草折枝) 무늬를 흑상감(黑象嵌)하였다. 굽다리는 깔끔하게 마무리되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