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사선(紗扇)

추천0 조회수 3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사선(紗扇)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얼굴을 가리는 가리개. <일반사항 및 특징> 혼례 때‚ 신랑이 말을 타거나 걷는 동안 얼굴을 가리기 위해 사용하는 가리개이다. 기원전 3·4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경남 의창군 다호리의 고분에서 출토된 옻칠이 된 부채자루와 안악 3호 고분벽화‚ 고려 불화 등에서 나타나는 부채 그림에서‚ 부채 사용의 역사가 오래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부채는 여름철뿐만 아니라 다른 계절에도 여러 가지 용도로 긴요하게 사용된 일상용품이었다. 초기의 부채는 소철이나 파초 잎을 말려서 사용했으며‚ 시간이 지나 새의 깃털을 사용하게 되면서 부채의 모양을 갖춘 것으로 짐작된다. 기술이 발달하면서 점차 비단이나 가죽과 같은 재료로 부채를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고‚ 종이의 발명과 함께 종이부채가 나타나면서 우리나라에서 부채는 빼놓을 수 없는 일상용품이 되었고‚ 그 모양과 종류도 다양하게 발달했다. 부채는 일반적으로 자루가 달린 둥근 모양의 방구부채와 선면(바람을 일으키는 부채의 면)을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접선으로 나누어진다. 방구부채는 기본적으로 둥근 모양을 하고 있지만 점차 선면의 모양이 다양해져서‚ 그 모양과 문양에 따라 각각 이름을 달리한다. 접선은 부챗살과 부채 가장자리의 갓대를 결합하여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만든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여 쥘부채라고도 한다. 방구부채가 서민적인 것인데 비해 접선은 귀족적 취향의 부채다. 이 외에 부채로 분류되지만‚ 특별한 용도로 쓰이는 특별한 재료와 모양을 가진 부채를 별선이라고 하는데‚ 차면선·혼선(婚扇)·파초선·윤선·팔덕선·무선·드림부채 등이 이에 속한다. 사선(紗扇)은 별선에 속하는 차면선(遮面扇)의 일종이다. 차면선은 얼굴을 가리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청색과 홍색 두 가지가 있고‚ 이 중 청색 차면선을 사선이라 한다. 사선은 청색의 얇은 명주나 비단을 두 막대기 사이에 대어서 만드는데‚ 안에서는 밖을 볼 수 있으나 상대편에서는 안을 볼 수 없게 되어 있다. 양반들이 걷거나 말을 타고 갈 때 사용했던 것인데‚ 일반적으로 혼례 때 신랑이 사용했다. 홍색 차면선은 그 모양이 사선과 같지만‚ 홍색의 명주나 비단으로 만들어지며‚ 과거급제시에 임금이 어사화와 함께 하사했던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부채의 연구(최상수‚ 정동출판사‚ 1981) 전통부채(금복현‚ 대원사‚ 1994) 한국의 부채(연세대학교박물관‚ 1995) 단오절선물부채전(전통공예관‚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