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상평통보(常平通寶)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상평통보(常平通寶)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시대의 화폐 <일반사항 및 특징> 1633년(인조 11) 김신국(金藎國)·김육(金堉) 등의 건의에 따라 상평청(常平廳)을 설치하고 주조하여 유통을 시도했는데 결과가 나빠 유통을 중지하였다. 그후 1678년(숙종 4) 정월에 다시 영의정 허적(許積)‚ 좌의정 권대운(權?運) 등의 주장에 따라 상평통보를 다시 주조하여 서울과 서북 일부에 유통하게 하였다. 그 뒤 점차 전국적으로 확대 유통하게 했는데‚ 조선 말기에 현대식 화폐가 나올 때까지 통용되었다. 이 화폐의 가치는 1문(文)이 2돈 5푼이고‚ 100문이 1냥(兩)‚ 10냥이 1관(貫)이었다. 평안감영(平安監營)·전라감영(全羅監營)에 명하여 이를 전담 주조하게 하였으며 사주(私鑄)를 금지하였다. 이는 200년 이상에 걸쳐 주조·발행되었는데 그 동안에 주전행정(鑄錢行政)이 문란하였고‚ 조정에서도 각 관청의 재정상 궁핍을 구제하기 위하여 각 관청에서 이를 주조하여 사용하도록 허용하였다. 이 화폐는 구리와 주석의 합금으로 만들었으며‚ 크기가 다른 것이 3종이 있었다. 모양은 둥근 엽전으로 가운데에는 정사각형의 구멍을 뚫고‚ 앞면에는 구멍을 둘러싸고 상하좌우에 `상평통보(常平通寶)`라는 한자를 한 자씩 찍었으며‚ 뒷면의 구멍 위에 주조한 관청의 이름을 박았는데‚ 다음과 같다. 영(營:御營廳)·개(開:開城管理營)·금(禁:禁衛營)·훈(訓:訓練都監)·호(戶:戶曹)·상(尙:慶尙監營)·향(向:粮餉廳)·선(宣:宣?廳)·총(摠:摠戎廳)·통(統:統衛營)·평(平:平壤監營)·기(圻:京畿監營)·전(全:全羅監營)·경(京:漢城府)·함(咸:咸鏡監營)·심(沁:江華島沁營)·균(均:均役廳)·무(武:武備司)·혜(?:宣?廳)·창(昌:昌德宮)·해(涇:黃涇監營)·수(守:守禦廳)·진(賑:賑?廳)·비(備:備邊司)·병(兵:兵曹)·강(江:江原監營)·공(工:工曹)·초(抄:精抄廳)·충(忠:忠?監營)·경(經:經理廳)·송(松:開城)·이(利:利川)·동(同)·원(原)·수(水) 등 36종이 알려져 있다. 구멍 아래에는 천자(千字) 또는 오행(五行)의 한 글자를 박았으며 또 숫자나 기호가 찍힌 것이 있는데 이것은 모두 주조번호를 표시한 것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