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제연질항아리

추천0 조회수 2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제연질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물건을 담아 저장하는 데 쓰는 질그릇을 통칭하여 항아리라 한다. <일반사항 및 특징> 한국에서는 선사시대의 민무늬토기[無文土器]에서 항아리의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 이 토기는 노란빛이 감도는 갈색에서 연한 갈색에 이르기까지 갖가지 빛깔을 보이며‚ 그 형태는 원통형 목과 몹시 좁고 뾰족한 납작바닥[平底]을 가진 불안정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것 외에도 긴 계란형 몸에 목을 가진 항아리 등이 있는데‚ 일본에 건너가 야요이[彌生] 문화기에 등장한 항아리에까지 영향을 주었다. 한편 같은 선사시대에 출현한 붉은간토기의 항아리는 넓은 몸에 굽이 좁아지는 아랫몸을 가진 목긴 납작바닥의 형태에‚ 그 표면은 홍색 산화철을 바르고 조개껍데기 ·차돌 등으로 반들거리게 문지르고 어깨에 검은색으로 연하게 U자 무늬를 세 겹으로 겹쳐 꽃잎처럼 돌렸다. 이러한 무늬는 중국의 채도에서는 볼 수 없으나 그릇 형태가 그것과 똑같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중국에서 시작해서 전파해 온 것임에 틀림없다. 선사시대 말기에 출현한 김해토기(金涇土器)의 항아리는 바닥이 둥글거나 편평한 것들이었으며‚ 그 색은 홍색에 가까운 밝은 적갈색 계통과 신라토기와 같은 청색이 감도는 회색을 띠고 있다. 손으로 빚어서 만든 종래의 기법과는 달리 처음으로 녹로를 사용하였고‚ 오늘날에도 활용되고 있는 터널식 굴가마[登窯]를 채용하는 등 상당한 기술적인 개발이 이루어졌다. 높은 온도로 구워졌으며‚ 굽기 전에 균형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안에 받침을 대고 밖으로부터 방망이에 평행선을 음각하거나 또는 가는 끈을 감아서 항아리의 표면을 때렸기 때문에 격자무늬 ·새끼줄무늬가 나타나 있다. 삼국시대의 토기항아리에 이르면 배가 점점 불룩한 원형으로 된 것‚ 거기에 굽이 달린 것 등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그 어깨 부분과 뚜껑 부분에 여러 기하학 무늬와 사람 ·짐승 무늬로 장식하거나‚ 사람과 짐승 모양을 만들어 첨부한 장식항아리 등이 만들어졌다. 고려시대에는 운문사동호(雲門寺銅壺)의 예와 같이 뚜껑을 갖추었고 고리손잡이가 달린 항아리가 있다. 어깨가 넓지 않고 밑이 과히 좁지 않아 원통에 가까운 형태이며 밑에 굽이 달려 있다. 그 밖에 청자항아리 등이 있고‚ 조선시대에도 갖가지 항아리들이 만들어졌다. 이 유물은 적갈색의 연질토기로 구연부는 외반되어 있고 바닥은 평평하다. 표면에 는 긁은 무늬가 조밀하게 시문되어 있다. 입부분에 회전판을 하용한 흔적이 보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