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척추 보호대

추천0 조회수 4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척추 보호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1. 정의 : 인체의 주요부위중 하나인 척추를 보호하기 위한 기구 보충설명 척추 : 척추동물의 척주를 형성하는 뼈. 척추골 또는 추골(椎骨)이라고도 한다. 척추는 단골(短骨)에 속하며‚ 중심체가 되는 추체(椎體)와 여기에서 후상방으로 나와 있는 활 모양의 추궁(椎弓)‚ 다시 여러 돌기 등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추체와 추궁에 둘러싸여 중앙에 커다란 추공(椎孔)이 이루어진다. 【사람의 척추】 사람의 척추는 경추(頸椎) 7개‚ 흉추(胸椎) 12개‚ 요추(腰椎) 5개‚ 천추(薦椎) 5개‚ 미추(尾椎) 4∼5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추골군은 각기 특유의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판별이 용이하다. 경추는 전반적으로 두께가 얇으며 추공이 크다. 특히 제1경추는 형태가 다른데‚ 추체가 결여되어 있어서 거의 고리 모양이 되므로 환추(環椎)라고도 한다. 또 제2경추의 형태도 좀 달라 추체의 위쪽에 이빨 모양의 돌기(치상돌기)가 새끼손가락 끝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환추는 이것을 축으로 하여 두개골을 실은 채로 회전하므로 축추(軸椎)라고도 한다. 치상돌기는 환추의 추체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이 돌기 때문에 축추는 책상다리를 한 사람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흉추 ·요추는 전반적으로 하위일수록 대형으로 된다. 천추는 5개가 융합되어 천골이 되고 미추는 작고 추궁이 없다. 【동물의 척추】 다수의 척추는 종렬하여 분절적(分節的) 구조를 하며 각 추골은 근절(筋節)과 근절의 중간에 위치하여 굴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척추 사이에는 추간연골이 존재한다. 쥐의 척추를 예로 들면‚ 경추가 7개‚ 흉추는 13개로 늑골이 여기에 달려 있다. 요추는 6개이며‚ 천추의 4개는 융합되고 미추 28개가 여기에 이어져 있다. 포유류에서는 기린 ·멧돼지도 모두 경추가 7개로서 일정하다. 연골어류에서는 평생 연골의 상태로 있다. 원구류(圓口類:칠성장어)에서는 척색(脊索)에 이어서 연골편이 약간 생기는데 불과하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