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중등교육 작법요항해설 개정판

추천0 조회수 10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중등교육 작법요항해설 개정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정판의 서 (序)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예의의 국가라 일컬어져‚ 옛날에는 예의작법이 바른 나라였다. 그러나 메이지 유신 때‚ 옛풍은 선악과는 상관없이 깨어져‚ 예의와 같이 소중한 것들까지도 점점 사라지게 되었던 것이다. 한편으로는 지식이나 기능이 매년 진보하고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예의작법이 문란해지고 있다는 것은‚ 대단히 개탄할 일로‚ 이것은 틀림없이 문명의 비정상의 발달이라고 할 수 있다. 도대체 예의작법과 같은 것은‚ 문명의 진보와 함께 어떻게 지켜야 하는 것인가? 실제로 구미의 문명국들도 모두 예의작법이 바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문명이 진보하면서 오히려 예의작법이 퇴보한 것 같다. 그러므로 메이지‚ 타이쇼 시대로부터 쇼와를 거쳐 성장한 사람들은 대부분 윗사람에 비해서 예의작법이 바르지 못하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모든 국민들이 대대적으로 그 올바르지 못함을 깨닫고‚ 예의 바른 진정한 문명국민이 되어야 한다. 특히 이제부터 제2의 국민이 되어 세계의 문명국민과 어깨를 나란히 하려면‚ 충분히 예의작법을 분별해서 매우 훌륭한 세계 일등 국민의 품격을 갖추어야 한다. 본서는 주로 중등학교의 모든 학생을 위하여‚ 문부성 지정의 작법요항을 기본으로‚ 예의작법의 일반을 실어 설명했고‚ 일상 실정의 지침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일반 청소년을 위한 생애 문명국민으로서의 좌우명이 되는 필수적인 기본서이다. 쇼와 8년(1933) 12월 지은이 P39 제5장 접대하는 법 제2절 다과 1. 차를 권할 때는‚ 차 접시 또는 차 받침대에 올려서‚ 양손으로 들고 적당한 위치에 내어놓는다. 차 접시인 경우‚ 왼손에 놓고 오른손으로 찻잔을 잡고 손님 앞에까지‚ 일본식의 방인 경우는‚ 다소곳이 무릎을 꿇고 앉아 방바닥에 놓고 양손으로 손님의 전면에 천천히 가까이에 놓는다. 서양식의 방인 경우는‚ 다소곳이 테이블 위에 놓고 머리를 가볍게 숙여 인사하고 퇴출하는 것이 좋다. 많은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찻잔을 쟁반에 놓고 각각 손님의 앞에까지 가지고 가서 [드세요]라고 하며‚ 손님이 찻잔을 들어 각자의 앞에 놓도록 한다. 2. 차를 마실 때는 차받침은 그대로 놓고 양손으로 찻잔만을 들어서 마시고‚ 차 접시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차 접시로 차를 낼 때에 손님의 앞에 놀 자리가 없을 때는 손님이 차 접시와 함께 들도록 하는 것이 좋다. 3. 차는 찻잔을 왼손 위에 올려놓고 오른손으로 찻잔을 잡아서 다소곳이 마셔야 한다. 찻잔은 오른손만을 써서 마셔도 된다. 또 조금씩 마셔도 된다. 다 마시고 난 후에는 찻잔을 차 접시 위에 올려놓아야 한다. 그때 시 위에 있도록‚ 수저의 위에는 각설탕을 올려놓고 내놓는 경우도 있고‚ 또 따로 설탕 용기를 내놓는 경우도 있다. 5. 커피와 홍차는 우선 여기에 각설탕을 넣고 마시는 수저로 젓고‚ 다음에는 수저를 접시 위에 놓고 접시는 왼손에 들고 찻잔은 오른손으로 들고 마신다. 다소곳이 마셔야 한다. 수저로 저을 때는 왼손의 엄지손가락과 검지로 찻잔의 손잡이를 잡고 있는 것이 좋다. 수저에 물방울이 묻었을 때는 잘 털어서 접시에 놓고‚ 접시와 함께 찻잔을 왼손에 놓고 손잡이를 오른손으로 잡도록 돌려서 잡고‚ 가능한 한 소리 나지 않게 마시는 것이 좋다. 다만 접시는 테이블 위에 놓고 마셔도 된다. 6. 과자‚ 과일 등을 권할 때는‚ 이것을 용기에 쌓아서 쟁반에 놓고‚ 각각의 과일마다 젓가락‚ 이쑤시개‚ 수저‚ 또는 나이프 등과 같이 낸다. 젓가락은 손님의 앞에 놓이도록 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손님 각각의 용기에 내고‚ 또는 냅킨에 싸서 낼 수도 있다. 7. 과자류는 젓가락 또는 이쑤시개로 집어야 한다. 각자에 대해 용기에 싸서 내놓을 때는 과자의 종류에 따라서 용기를 들고 먹어야 한다. 마른 과자류는 그대로 손으로 집어서 먹어도 된다. 초밥(스시)이나 팥떡(오하기)과 같은 것은 용기를 들어서 먹는 것이 좋다.찻잔을 엎어놓는 것은 좋지 않다. 4. 커피‚ 홍차 등을 권할 때는 찻잔을 접시 위에 올려놓고 수저를 접시 위에 같이 올려놓고‚ 양손으로 들고 찻잔의 손잡이가 손님의 왼쪽을 향하게 내놓는다. 찻잔의 손잡이를 손님의 왼쪽을 향하게 내놓을 때의 방법은‚ 손님에게 찻잔을 가지고 갈 때부터 손잡이를 왼쪽으로 향해 접시에 놓는 것이 좋다. 수저도 손님의 접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