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木靴

추천0 조회수 1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木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상대(上代)의 신은 그 형태에 따라 `화(靴)와 `이(履)`로 나뉜다. 화는 화( )라고 쓰기도 하며 북방에서 유래된 신으로 신목[ ]이 붙어 있어 지금의 장화와 비슷한 형태이다. 이(履)는 신목이 짧은 신으로 화를 제외한 신발을 총칭하며 혜(鞋) ‚ 비(扉)‚ 극( )‚ 석( )‚ 갹답( 踏)등을 포함한다. 조선시대에는 이(履)에 속하는 혜를 대표적인 신으로 사용하고 화는 상류계급에게만 허용하였다고 볼 수 있는데‚ 여러 종류의 신 중 특히 가죽제로 된 화와 혜가 호상(?尙)됨에 따라 일반이 가죽제를 신는 것을 금하는 금령을 내리기도 하였으나‚ 일반의 피혜(皮鞋) 착용은 여전하여 마침내는 같은 가죽이지만 재료로써 귀천을 구별하여 귀자(貴者)는 녹피(鹿皮)‚ 천자(賤者)는 우피(牛皮)를 사용하게 되었다. 목화는 조선시대 중·후기에 왕과 문무관리들이 관복을 입을 때 신던 목이 긴 마른신으로‚ 신 목이 길어 반장화 같이 생겼다. 이를 우리말 식으로 표현하고자 `목화`라 하기도 하였고‚ 바닥을 나무로 만들고 그 위에 다시 가죽으로 감싸는 데서 `목화(木靴)`라 하기도 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