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소창의

추천0 조회수 3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소창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소창의(小 衣)는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평상복으로 착용했던 창의( 衣)의 하나이다. 소매가 좁고 길이가 길지 않으며 무가 없이 양옆을 터서 앞 두 자락‚ 뒤 한 자락‚ 모두 세자락으로 갈라졌다. 평상시에는 흰색으로 만들어 겉옷으로도 착용하였고‚ 공복을 입을 때는 청색으로 만들어 중의(中衣)로 착용하였다. 또한 대창의(? 衣)를 입지 못하는 서민들은 겉옷으로 착용하기도 하였다. 풍속화에서는 주인에게 시중드는 이가 많이 입고 있는데‚ 개화기 이후에도 `창옷짜리`라고 하여 하급관리를 낮추어 부르는 말이 있었다. 본 유물은 1999년 12월 20일 전주(全州) 이씨(李氏) 정간공(靖簡公) 휘(諱) 익정(益炡 : 1699-1782)의 묘에서 출토된 유물에 대한 것이다. 2002년 월드컵 경기장 건설과 함께 아파트가 들어서게 되면서 이장(移葬)을 하게 된 것이다. 출토당시 관의 내부는 시신이 육탈(肉脫)되어 약간 내려앉은 상태였고 습기가 차 있었으며 악취는 약한 편이었다. 내관(內棺) 안벽에는 얇은 한지(韓紙)가 발려있었고‚ 추운 날씨때문에 유물은 서로 엉킨 채 얼어있는 상태였다. 유물의 상황을 판단하면서 시신의 상부를 덮은 것 중에서 머리 쪽에 있는 보공물(補空物)부터 걷어내었는데‚ 주로 옷·솜·옷감들이었다. 다음으로 수의(壽衣)를 수거하였다. 수의를 입힌 순서를 보면 겉으로부터 위는 심의→중치막→중치막→소창의→적삼‚ 아래는 솜바지→고의‚ 발에는 행전→버선→신을 신고 있었다. 머리는 복건 속에 명목을 덮고 한지로 얼굴을 가렸으며 옥관자(?貫子)를 단 말총(馬尾) 망건(網巾)을 쓰고 상투를 틀었다. 수의는 일단 뼈를 들어낸 후 수거하여 박물관에 돌아와서 정리하였다. 익정의 유물중 가장 많은 것이 소창의인데 수의(壽衣)에 한 점‚ 보공(補空)에 9점이다. 옷감은 주로 명주이고 삼팔‚ 공단‚ 갑증이 있다. 본 소창의는 겉과 안을 삼팔주로 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