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반수방령(半袖方領)

추천0 조회수 9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반수방령(半袖方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본 유물은 1999년 12월 20일 전주(全州) 이씨(李氏) 정간공(靖簡公) 휘(諱) 익정(益炡 : 1699-1782)의 묘에서 출토된 유물에 대한 것이다. 2002년 월드컵 경기장 건설과 함께 아파트가 들어서게 되면서 이장(移葬)을 하게 된 것이다. 출토당시 관의 내부는 시신이 육탈(肉脫)되어 약간 내려앉은 상태였고 습기가 차 있었으며 악취는 약한 편이었다. 내관(內棺) 안벽에는 얇은 한지(韓紙)가 발려있었고‚ 추운 날씨때문에 유물은 서로 엉킨 채 얼어있는 상태였다. 유물의 상황을 판단하면서 시신의 상부를 덮은 것 중에서 머리 쪽에 있는 보공물(補空物)부터 걷어내었는데‚ 주로 옷·솜·옷감들이었다. 다음으로 수의(壽衣)를 수거하였다. 수의를 입힌 순서를 보면 겉으로부터 위는 심의→중치막→중치막→소창의→적삼‚ 아래는 솜바지→고의‚ 발에는 행전→버선→신을 신고 있었다. 머리는 복건 속에 명목을 덮고 한지로 얼굴을 가렸으며 옥관자(?貫子)를 단 말총(馬尾) 망건(網巾)을 쓰고 상투를 틀었다. 수의는 일단 뼈를 들어낸 후 수거하여 박물관에 돌아와서 정리하였다. 깃은 네모 모양의 방령(方領)에‚ 앞여밈은 겹치지 않고 대금(對衿)이며‚ 소매는 반팔 길이의 반수(半袖)‚ 길이는 앞이 짧고 뒤가 긴 전단후장(前短後長)형이다. 재질의 겉은 삼팔이고 안은 명주이다. 매우 얇은 솜을 두고 굵은 누비를 하였는데 누비 땀 간격은 약 3.8-4cm이다. 동정은 깃의 바느질이나 색상으로 보아‚ 달려 있던 것이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옷고름도 없는데 양쪽 마주 3개 씩 0.8cm 너비로 달렸던 흔적이 남아있다. 솜은 일정한 두께로 둔 것이 아니고 윗W고과 소매진동 주변은 더 두껍게 넣어져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