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미수선생연보

추천0 조회수 11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미수선생연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참고> 미수허선생년보〈一蓑古 923. 251-H41h〉 허뢰편. 1책 45장. 목활자본. 31 19. 5Cm. 허목(1595-1682)의 5대손 허뢰가 임진년(1762년으로 추정됨)에 기존의 허목 연기를 편집한 책 3종을 모아 재편집한 책. 허뢰는 권말의 후지에서 선조의 가르침과 조정의 논사지적이 민멸될까를 우려하여 3본을 참고하고 대증하여 1책으로 만들었음을 서술하고 있다. 참고한 3종의 연보는 완성군 이존도가 편집한 것‚ 참봉 이택이 편집한 것‚ 강박과 오광운이 이익에게 준 것을 편집한 것 등이다. 저자는 저술한 연월이 상세하지 않아 기록하지 않은 묘도문자가 있음을 양해해 달라고 부탁하고 있으며 부록을 두어 후세에 참고되게 한다고 하였다. 권두의 세계도는 허목이 고려 태조때 공엄촌주에 봉해진 선문 이래로 22대 후손임을 밝히고 27대 후손인 저자를 포함하여 32대 후손 까지가 기록되어 있다. 연보는 2권으로 구성되었는데 1권은 허목이 한양의 창선방에서 출생한 것에서 시작하여 1680년 까지를 기록하고 있으며‚ 2권은 허목이 81세가 되던 숙종 즉위년에서 시작하여 1708년에 창원의 정구를 모신 회원서원에 배향되었던 기록으로 끝을 맺고 있다. 부록은 사범장교서·제문·미천서원 선액문·미강서원 봉안고문 ·미강서원 상향축문·자명비음기·자명비·이익이 쓴 신도비명 등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보는 숙종대에 청남의 영수로 활약한 허목의 생애를 집약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 이 된다. (심재우) <미수 허목> 조선 중기의 학자. 문신. 본관 양천. 자 문보(文甫). 화보(和甫). 호 미수(眉戒). 시호 문정(文正). 현감 교(喬)의 아들이며 이원익(李元翼)의 손녀사위이다. 경기도 연천의 향리이고 서울에서 성장하였지만 영남 남인의 거두 정구(鄭逑)에게 학문을 배웠다. 1626년(인조 4) 유생으로서 동학(東學)의 재임(齋任)을 맡고 있을 때‚ 생부 정원대원군(定遠?院君)을 왕으로 추숭해 나가려는 인조의 뜻을 지지한 박지계(朴知誡)에게 그 이름을 유생 명부에서 지우는 벌을 가했다가 과거 응시를 금지당하는 처벌을 받았다. 그 일을 계기로 과거와 벼슬에 뜻을 끊고 광주 자봉산(紫峯山)에 들어가 학문을 닦았으며 여러 곳을 이주한 끝에 1646년 연천에 돌아왔다. 1650년(효종 1) 이후 정릉참봉·내시교관 ·조지서별좌·공조좌랑·용궁현감 등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거나 곧 사직하였다. 1657년 공조정랑·사복시주부를 거쳐 1659년에 장령에 임명되자 상소를 올려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吉) 등의 정책에 반대하는 등 중앙 정부에서의 정치활동을 시작하였다. 1659년에 현종이 즉위한 후 경연에 참여하였으며 이듬해 다시 장령이 되었다. 이때 효종에 대한 인조 계비 조대비(趙??)의 복상 기간을 서인 송시열 등이 주도하여 1년으로 한 것은 잘못이므로 3년으로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예송(禮訟)논쟁을 시작하였다. 이 의견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삼척부사로 축출되었으며‚ 그곳에서 향약을 실시하고 읍지를 편찬하였다. 1674 년 효종비가 죽었을 때 조대비의 복제를 송시열 등이 주장한 9개월복 대신 기년복으로 늘려 잡아야 한다는 주장이 승리하고 남인이 집권함에 따라 대사헌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675년(숙종 1)에 산림직인 성균관제주(成均館祭酒)를 비롯하여 이조참판·우참찬·이조판서 등을 거치고 우의정에 임명됨으로써 과거를 거치지 않고 진출한 산림(山林) 중에서 정승까지 승진한 흔하지 않은 인물이 되었다. 이때 왕통을 문란하게 했다는 송시열의 죄를 엄하게 다스릴 것을 주장하여‚ 온건론자인 허적(許積)이 이끄는 탁남(濁南)에 대비되는 청남(?南)의 영수가 되었다. 1676년에 사직하고‚ 특명으로 기로소에 들어간 후로는 허적의 전횡을 비판하는 격렬한 상소를 올렸을 뿐 관직에는 나아가지 않았다. 1680년 경신환국(庚申換局)으로 남인이 실각할 때 관직을 박탈당하고 학문과 후진양성에 몰두하였다. 죽은 후 1688년에 관직이 회복되고 경기도 마전에 있는 미강서원(湄江書院) 등에 제향 되었다. 사상적으로 이황(李滉)·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李瀷)에게 연결시킴으로써 기호 남인의 선구이며 남인 실학파의 기반이 되었다. 사서(四書)나 주희(朱熹)의 저술보다는 시·서 ·역·춘추·예의 오경(五經) 속에 담겨 있는 원시 유학의 세계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중국 진한(秦漢) 이전의 문물에 대한 탐구는 문자에도 적용되어 특히 전서(篆書)에 독보적 경지를 이루었다. 그러한 사상은 단순한 복고주의가 아니고 당시의 모순들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활로의 개척을 의미하였다. 그의 예설은 정치적으로 왕권강화와 벌열 세력 억제를 통하여 왕조 질서를 확립하고 일반 사대부의 기회 균등을 찾으려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으며‚ 서인들이 왕실에 대해서 유교적 예를 보편적으로 적용하여 상대적으로 집권 사대부의 권위를 높이려는 움직임에 대립되었다. 또한 막강한 권위를 지닌 북벌론에 대해서도 현실에 기반을 두지 않은 허구임을 비판하였다. 한편 당시의 국정에 많은 의견을 개진하였으나 호포제(戶布制)를 반대하고 중세 신분제의 수호에 나타나듯 보수적인 입장에 선 경우도 적지 않았다. 저서에 편집한 문집 《기언(記言)》‚ 역사서인 《동사(東史)》를 비롯하여 예서(禮書)인 《경례유찬(經禮類纂)》 《방국왕조례(邦國?朝禮)》 《정체전중설(正體傳重說)》‚ 삼척 읍지인 《척주지(陟州誌)》 등이 있다. <참고문헌> 두산세계대백과 국어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