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써래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써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논(밭)바닥을 고르거나 흙덩이를 부수는 기구. <일반적형식 및 특징> 일명 써으리‚ 쓰래‚ 써그래‚ 성으리‚ 초파(秒杷)‚ 서흐레(옛날말)이라고 부른다. 써레는 토막나무에 둥글고 끝이 뾰쪽한 살을 6∼10개 정도의 빗살처럼 나란하게 박고‚ 위에 손잡이는 가로 대었다. 또 토막나무에 대각이 되게 앞으로 긴 나무를 박고‚ 여기에 봇줄을 매어 소의 멍에와 연결시켜 소가 끌도록 하였다. 소가 써레를 끌면 사람은 위 손잡이를 눌러주며 소를 따라 간다. 이때 논바닥의 두둑진 곳을 길이로 써는(고르는) 것을 장써레라고 한다. 써레의 주요 부분 명칭은 다음과 같다. (1) 나루채 : 써레 몸둥이 앞면의 양쪽에서 앞으로 뻗어 나오게 박은 나무. 이 나무 두 끝에 봇줄을 맨다. (2) 찍게발 : 손잡이를 가로대기 위하여 몸둥이에 박은 두 개의 나무. (3) 써레발 : 써레 몸둥이에 박은 끝이 뾰족한 나무. (4) 땅을 고르거나 깨는 일을 한다. < 써레씻이> 모내기를 끝내고 써레를 씻어 보관하며 머슴을 대접하는 날. 즉 5월경에 모내기를 하는 동안에 사용하였던 써레를 보관하기 위해 깨끗이 씻어서 둔다. 써레를 씻는다는 것은 주곡인 벼농사의 수확을 기다리는 의미가 있다. 이날은 모내기를 하는 동안 애를 쓴 머슴들에게 각각의 주인집에서 푸짐한 음식을 장만하여 대접을 하고‚ 돈도 주어 며칠 동안 쉬게 한다. 이날을 일명 써레수세라고도 한다. < 써레질> 논(밭)바닥의 덩어리진 흙을 깨뜨리며 바닥을 평평하게 고르는 일. 써레를 끄는 소와 남자 한 사람이 하루에 할 수 있는 능력은 논 2천평 정도이다. 써레의 무게는 대개 8∼10㎏ 으로 박달나무 · 참나무 등으로 만든다. 논에서 쓰는 써레를 마른써레라 한다. 마른써레는 발이 짧게 달려 있기도 하며 손잡이가 따로 없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