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뚜껑있는 굽다리접시

추천0 조회수 3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뚜껑있는 굽다리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낮은 접시나 깊은 완모양 그릇에 다리모양의 긴 굽이 붙은 토기이다. 한자로는 고배(高杯)라고 부르며 뚜껑이 없는 것(無蓋高杯)과 뚜껑이 덮혀 있는 것(有蓋高杯)으로 구별되기도 하고‚ 다리에 뚫려있는 구멍의 배치형태에 따라 2단투창고배(二段透窓高杯)와 1단투창고배(一段透窓高杯)‚ 투창없는 고배(無透窓高杯) 등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굽다리에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불꽃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뚫었다. 백제의 굽다리접시는 높이가 낮고 굽다리에 둥근 구멍이 뚫려 있다. 반면 신라의 굽다리접시는 뚜껑이 있는 것과 없는 것‚ 높이가 높은 것과 낮은 것 등 형태가 다양하고 굽다리에는 사각형 구멍이 2단으로 아래위로 엇갈리게 뚫은 특징이 있다. 가야의 굽다리접시는 뚜껑이 있고 굽다리에 삼각형구멍이 있거나 아래위로 나란하게 배치된 사각형 구멍이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흔히 토기의 형태로 제작되지만 청동기나 목기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다. <발달과정/역사> 굽다리접시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일대의 선사시대 및 고대 용기문화에서 자주 보이는 그릇의 한 종류이다. 이는 나물이나 고기를 담는 그릇이며 제기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굽다리접시가 한 시대의 토기유물군 중 주된 기종으로 등장하는 것은 청동기∼초기철기시대 부터이고 삼국시대에 들어서는 특히 신라와 가야지역에서는 아주 중요한 기종이었다. 그래서 이것이 가장 다양하게 발전한 지역은 단연 신라와 가야지역이다. 고구려지역에서는 굽다리접시라는 기종을 보기 어렵고 백제지역은 굽다리접시가 적지 않게 제작되기는 하였지만 신라와 가야지역 만큼 풍부하고 다양하지는 못하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기본적인 형태는 낮은 접시나 깊은 완 혹은 바리와 같은 접시(杯身)에 원통형 또는 나팔형의 다리가 결합된 모습인데‚ 다리를 장식하거나 중량을 가볍게 할 목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굽구멍(透窓)을 뚫는 경우가 흔히 있다. 굽다리접시가 가장 다양하고 양적으로 풍부하게 제작된 시대는 삼국시대로‚ 토기의 형태에 따라 신라식과 가야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신라식 굽다리접시는 다리의 통이 넓고 외형이 직선적인 원뿔모양이다. 그리고 다리에 2단으로 투창을 뚫을 때 위단과 아래 단을 서로 엇갈리게 하여 사다리꼴의 넓은 굽구멍을 뚫는다. 이에 비해 가야식의 굽다리접시는 다리가 길고 외형이 곡선적으로 펼쳐지는 나팔모양이다. 다리의 굽구멍도 위아래로 나란히 긴네모꼴로 뚫고 있다. 이런 굽다리접시는 6세기로 들어서면 전체적으로 다리가 짧아지고 굽구멍도 형식적으로 뚫리거나 아니면 생략되기도 한다. 뚜껑은 도질토기(陶로 안으로 들어간다. 뚜껑 내·외면에는 회전물손질한 흔적이 남아 있고 구울 당시 바탕흙 내의 유약성분이 토기면에 배어나와 검은 물방울처럼 붙어 있다. 굽다리접시는 도질토기(陶質土器)로 밝은 회색이며 구운 상태가 불량하다. 바탕흙은 가는 돌알갱이를 소량 함유하고 전체가 파손된 것을 복원해 곳곳이 떨어져 남아 있지않다. 접시(杯身)는 완만하게 벌어지고 깊이가 있는 편이며 아가리(口緣部)는 수평으로 들어가다가 다시 위로 오므라져 들어간다. 다리(臺脚部)는 나팔형으로 벌어지고 중간에 2줄의 얕은 돋을띠(突帶)를 둘려 2단으로 나누고 윗 단에는 사다리꼴에 가까운 사각형 굽구멍(透窓) 3개를 뚫고 있는데‚ 윗 단의 굽구멍과 엇갈리게 배치했다. 굽다리끝은 밖으로 수평으로 벌어졌다. 質土器)로 황색빛이 도는 밝은 회색(明灰色)이며 구운 상태는 보통이다. 바탕흙(胎土)에는 가는 돌알갱이가 소량 함유되어 있고 뚜껑이 반으로 파손된 것을 복원했으나 꼭지와 아가리(口緣部) 극히 일부가 떨어져나갔다. 뚜껑에는 3개의 굽구멍(透孔)이 있는 굽다리모양꼭지(臺脚形紐)가 부착되어 있는데 긴 사각형 구멍(透孔)은 밖에서 안으로 찔러 뚫은 것이다. 그리고 꼭지를 중심으로 뚜껑(蓋身)의 외면에는 안에서부터 밖으로 1줄의 침선문(針線文)·14개의 삼각거치문(三角鋸齒文)·1줄의 침선문·13개의 반원점문(半圓點文)이 순서대로 시문되어 있다. 드림턱은 짧게 수평으로 돌출했고 드림부는 직선적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