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거북모양 띠고리

추천0 조회수 8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거북모양 띠고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띠고리(帶鉤)는 혁대(革帶)나 포대(布帶)의 한쪽 끝에 부착해서 대(帶)의 다른 한쪽 끝의 구멍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주로 삼한?삼국시대 고분(古墳)에서 마형‚ 호형?곡봉형 등 다양한 종류가 출토되고 있다. 같은 허리띠의 결합구(結合具)라 하더라도 대구(帶鉤)는 반원 혹은 반타원형의 외륜(?輪)에 짧은 봉상의 침이 가운데로 건너질러 걸쳐지도록 띠고리(?具)와 그 기능은 같으나 형태‚ 착장방법 등이 다르다. 또한 허리띠(帶)의 한 부속구(附屬具)라고 할 수 있지만 사실 특별한 신분의 무덤에서만 출토되는 것이다. <발달과정/역사> 전체적인 허리띠고리의 발달과정을 살펴보면 중국에서 양(兩) 한대(漢代)까지 곡봉형대구(曲棒形帶鉤)가 사용되다 진(晋)대 이후 띠고리(具)가 등장하여 그것을 대체하고‚ 남북조(南北朝)와 수당대(隋唐代)에 크게 발전하고 한국의 삼국시대에도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스키타이-흉노계 문화지역에는 각종 문양이 부조(?彫) 혹은 투조(透彫)된 판상대구와 동물형대구 등에 자주 나타난다. 한국의 원삼국시대에는 중국 혹은 낙랑으로부터 유래한 곡봉형 대구도 있지만 호형(虎形) 혹은 마형(馬形)의 대구(帶鉤)가 자주 보이며‚ 4세기대 들어서면 마구류의 혁대 부속구로 대소의 철제(鐵製)띠고리가 자주 출토된다. 5-6세기대에 들어서면 주로 신라?가야의 고분에서 화려한 허리띠(과帶)의 한 부속으로 사용된 금제나 은제의 띠고리가 많이 보인다. <형태 및 특징> 이 유물이 출토한 덕천동고분군은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산50?53?54번지 일대에 위치한 삼국시대 고분군이다. 고분군은 금정봉(金井峰)에서 상학봉(上鶴峰)으로 연결되는 부산지역의 서부산지에서 서쪽으로 뻗는 능선부 말단에 형성된 해발 35-50m 내외의 낮은 구릉상에 위치한다. 고분들이 분포하는 구릉의 서쪽 500m 앞에는 낙동강이 인접하여 흐르고 그 연안에는 충적평야가 발달되어 있다. 1980년 대규모의 주택단지를 조성하게 되어 고분군이 소멸 위기에 처함에 따라 1981년 1월부터 4월까지 부산시립박물관 주관하에 발굴되었다. 그 중 거북모양 띠고리가 출토한 유구는 D지구 2호로 장방형의 횡구식석곽분으로 중앙시상석 사이에서 출토하였다. 유구는 발굴당시 이미 동쪽의 부분이 심하게 교란되어 바닥까지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유구내 유물이 대부분 유실되어 거북모양 띠고리 외에 유개고배 1점이 더 있을 뿐이며 시기는 6세기 말에서 7세기로 추정된다. 띠고리의 형태는 얼핏보면 고구려벽화고분의 사신도 중 현무상의 느낌을 주는 것으로 거북이등에 머리와 꼬리부분을 만들고 양쪽으로 단면연구소‚ 2001)‚ 韓國의 과帶金具에 대하여(臼杵勳‚ 伽倻通信 18‚ 1988)‚ 古代 東アジアの 裝飾墓(町田章‚ 同朋社‚ 1987)‚ 한국 복식의 역사-고대편(이은창‚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원형의 청동선을 연결하였다. 몸통의 평면형태는 각이 없는 마름모꼴로 가운데 중심선을 중심으로 단면‘∧’형태를 이룬다. 몸통의 가장자리로는 약간 축약되는 단이 있어 거북의 몸통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머리부분은 피손되어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으나 몸체에서 약간 치켜들었으며‚ 꼬리 역시 뾰족하고 짧게 치켜들어 동적(動的)이면서 사실감 있게 표현하였다. 허리띠와의 고정을 위해 꼬리부분에 청동선을 연결하였으며‚ 반대편에서 오는 허리띠와 연결을 위해 머리쪽에서 나오며 반원형으로 그 끝이 뾰족하게 처리되었다. 청동질은 좋아 암녹색을 띄며 광택이 난다. <참고문헌> 부산덕천동고분(부산직할시립박물관‚ 1983)‚ 韓國考古學辭典(국립문화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