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환유첩

추천0 조회수 9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환유첩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19세기 후반에 외관직을 지낸 홍기주(?岐周)가 자신이 역임한 고을의 지도를 그려 묶은 지도첩. 채색필사본. 14장. 각 도폭에 홍기주의 인(印)이 있고‚ 지도 끝에 발문이 있다. 지도는 홍기주가 부임했던 순서에 따라 1875년(고종 12)의 경상도 용궁‚ 1878년의 전라도 순창‚ 1882년 함경도 함흥과 전라도 곡성·전주‚ 1884년의 전라도 무주‚ 1885년의 강원도 평강과 충청도 온양‚ 1886년의 경상도 거창과 전라도 고산‚ 1887년 평안도 순안‚ 1888년 경상도 안의‚ 1890년 황해도 신천‚ 1892년 충청도 천안 등 14 고을의 지도가 수록되었다. 지도의 내용과 형식은 지역에 따라 상이하며‚ 정교하지는 않다. 전라도 순창과 고산‚ 강원도 평강 지도가 가장 상세하여 리(里)의 이름과 위치까지 기록하였다. 이 지도들은 1872년(고종 9)에 전국 군현지도 제작 명령에 따라 제작되었던 전국 각 지방의 지도들과 유사한 모습을 지니고 있어‚ 각 지방에 보관했던 부본 지도를 바탕으로 하여 그렸음을 짐작하게 한다. 그러나 이 지도처럼 개인이 특정한 지역의 지도를 모아 편찬한 지도책의 형식은 귀하다. 목민관이 통치에 지도를 참고하였음을 보여 주는 증거 자료로서‚ 그리고 지도의 보편화와 이용의 확대를 보여 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涇東地圖-解說-索引集(서울?學校 ?章閣‚ 1995) 韓國의 옛 地圖-자료편(영남대학교 박물관‚ 1998) 朝鮮後期 郡縣地圖의 發達(양보경‚ 문화역사지리 제7호‚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995) <사진자료> ?安郡地圖(서울?學校 ?章閣‚ 朝鮮時代 地方地圖‚ 1995‚ 20쪽) 咸興府地圖(서울?學校 ?章閣‚ 朝鮮時代 地方地圖‚ 1995‚ 66쪽) 高山縣地圖(朝鮮後期 地方地圖 - 全羅道편-‚ 1996‚ 서울?學校 ?章閣‚ 6쪽) 茂朱府地圖(朝鮮後期 地方地圖 - 全羅道편-‚ 1996‚ 서울?學校 ?章閣‚ 32쪽)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