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각읍도

추천0 조회수 3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각읍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18세기 중엽에 편찬된 황해도‚ 평안도의 군현지도집. 채색필사본. 황해도의 해주목 등 23개 군현‚ 평안도의 평양부를 비롯한 42개 군현의 지도가 31장의 지도에 수록되어 있다. 세로 42cm 가로 42cm 내외의 종이에 지도를 그렸으나 군현의 넓이에 따라 지도의 크기가 다른 것으로 보아 축척을 적용하여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황해도의 해주목·평산부와 평안도의 평양부·영변부·성천부·의주부·강계부 등 면적이 넓은 지역은 1개 군현의 지도가 1면에 그려져 있다. 그러나 면적이 작은 군현의 경우 6개 군현의 지도가 한 면에 수록된 곳도 있는데‚ 평안도의 안주목·중화부·삼등현·증산현·숙천부·곽산군은 세로 55.5cm 가로 42cm 크기의 종이에 함께 그려져 있다. 또 황해도의 서흥현·봉산군·안악군·풍천부‚ 그리고 장연부·신천군·은율현 등 3∼4개 고을이 같이 수록된 면이 여러 장 있다. 18세기 중엽∼18세기 말 영정조대에는 일정한 축척을 적용한 방안지도의 제작이 활발하였다. 이 지도는 눈금(方眼)이 표시되지 않았으나‚ 20리 방안지도(方眼地圖)를 모사한 지도로 추정된다. 규장각에 소장된 팔도군현지도(八道郡縣地圖)‚ 국립중앙도서관의 팔도지도(八道地圖) 등 20리 방안지도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방안지도는 과학적 지도의 발달에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지도로서 군현지도‚ 도별지도‚ 전국지도 등 여러 유형의 지도 제작에 사용되었다. 고산자 김정호가 만든 전국지도인 청구도(靑邱圖)‚ 대동여지도(?東輿地圖)도 10리 방안지도이다. <참고문헌> 韓國의 古地圖(李燦‚ 汎友社‚ 1991) 涇東地圖-解說·索引集-(서울?學校 ?章閣‚ 1995) 韓國의 옛 地圖-자료편(영남대학교 박물관‚ 1998) 18세기 備邊司地圖의 고찰-?章閣 소장 道別 郡縣地圖集을 중심으로(楊普景‚ ?章閣 15‚ 서울?學校 ?章閣) 朝鮮後期 郡縣地圖의 發達(양보경‚ 문화역사지리 제7호‚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995) <사진자료> 八道郡縣地圖 중 安州‚ 理山(李燦‚ 韓國의 古地圖‚ 1991‚ 汎友社‚ 280쪽‚ 282쪽) 韓國의 옛 地圖-도판편(영남대학교 박물관‚ 1998‚ 104∼111쪽)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