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사자(북청사자탈)

추천0 조회수 711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사자(북청사자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북청사자놀이의 사자가면. 북청사자놀이는 함경남도 북청군에서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던 사자놀이이며‚ 중요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된 이것은 삼국시대의 기악‚ 무악 이래 민속놀이로 정착된 가면놀이이다. 사자놀이의 특징은 쌍퉁소와 북으로 구성된 악대가 보여주는 북방 특유의 소리를 치는데 있다. 연희의 내용은 길놀이‚ 마당놀이‚ 애원성춤‚ 사당춤‚ 칼춤‚ 무동춤‚ 꼽새춤‚ 사자춤‚ 재담‚ 넋두리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청사자놀이는 풍자보다는 사자춤의 묘기와 흥겨움이 위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탈춤처럼 서민생활상이나 파계승에 대한 풍자도 찾아보기 힘들다. 북청사자는 흔히 한쌍을 쓰며‚ 머리부분과 몸통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머리는 피나무를 파서 만드는 것이지만 이것이 무겁고 만들기도 어렵기 때문에 지금은 종이로 만든다. 그리고 종이탈에 오색실을 붙이는데‚ 옛날에는 삼을 가늘게 쪼개어 오색으로 물들였지만 지금은 털실이나 인조섬유를 사용한다. 사장머리는 가로 세로 1자반 가량이며‚ 코의 높이는 2치 정도‚ 눈동자의 지금은 3치 정도 되게 만든다. 북청사자놀이에 쓰는 가면은 사자‚ 양반‚ 꼽새‚ 사령 등이고 사당‚ 중‚ 거사‚ 한방의 등은 가면 없이 복색만 갖추고 등장한다. 사자춤은 두 탈꾼들이 사자탈 속에 들어가 춤을 추는 것을 말하는데‚ 앞에 서서 추는 앞채는 구부정하게 서서 사자머리를 두 손으로 들고 흔들며 뒤에 서서 추는 사람인 뒤채는 앞채의 어깨를 짚고 다른 손을 뒤로 하여 사자꼬리를 조절한다. 북청 일대에서는 음력 정월 14일에 여러 마을에서 장정들의 편싸움이 벌어졌으며 달이 뜬 뒤부터 시작된 사자놀음은 15일 새벽까지 계속되었고 16일 이후는 초청 받은 유지의 집을 돌며 놀았다. 이때 주인의 청에 따라 부엌의 조왕과 시렁 앞에 엎드려 조령에게 절을 하고 오색포편을 사자 몸에 매어주기도 하였다. 이때 아이를 사자에게 태워주면 수명이 길어진다고 하였고 사자털을 베어다 두면 장수한다는 풍습이 있었다. 또한 북청사자놀이는 농민의 저항정신과 함께 벽사진경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춤과 노래를 통하여 신을 섬기고 악귀를 몰아낼 힘을 가진 사자를 동원‚ 잡귀를 쫓아내고자 하는 의미를 지녔다. 백수의 왕으로 벽사의 뜻을 지닌 사자가 가면을 쓰고 등장하여 악귀를 내?고 마을이 태평하기를 기원하면서 정월 대보름날 사자놀이를 거행한 것이다. <참고문헌> 북청사자놀이연구(전경욱‚ 태학사‚ 1997) 조선민속탈놀이연구(김일출‚ 한국문화사‚ 1998) 한국가면극(이두현‚ 서울대‚ 1994) 한국의 전통춤(정병호‚ 집문당‚ 1999) 중요무형문화재해설(문화재관리국‚ 19극(서울대학교출판부‚ 198쪽) 북청사자놀음: 탈춤(대원사‚ 21쪽) 북청사자놀음 : 탈춤(대원사‚ 85쪽) <기타참고> 하회동탈박물관 :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287번지‚ (0571)853-2288‚2938‚ http://www.tal.co.kr 갈촌탈박물관 : 경남 고성군 고성읍 율대리 650‚ (0556)672-2772‚ 674-2133 공주민속극박물관 : 충남 공주시 의당면 청룡리 357번지‚ (0416)55-4933 <비디오자료 출처> CD-ROM : 한국의 탈/포토CD출판정보원 VIDEO : 한국의 탈/MBC. 83min 북청사자놀음/U-matic. KBS. 48min 북청사자놀음/MBC. 39min 북청사자놀음/U-matic. 국립영화제작소 55min <유사·관련 용어> 탈‚ 신수‚ 백택‚ 벽사‚ 산예‚ 매귀‚ 매구‚ 지신 밟기 86) <기타참조> 사자춤이 나오는 문헌: 신라 삼국사기중 최치원의 <향약잡영>‚ 고려말 이색의 <구나행>‚ 조선시대 성종19년 동월이 지은 <조선부>‚ 유득공 <경도잡지>‚ 송만재 <관우회>‚ 김홍도 <평안감사환영도> <사진자료> 1930년대 북청사자놀이의 사자가면 : 한국가면극 그역사와 원리(열화당‚ 34쪽) 북청사자놀음 : 한국가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