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호미

추천0 조회수 6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호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논호미는 물이 있는 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호미자루에 짚을 감은 것이다. 논매기 때 쓰며 물이 묻어도 미끄럽지 않고 부드러워 손바닥이 잘 상하지 않는다. 호미는 씨앗심기‚ 논이나 밭의 김매기‚ 북돋우기‚ 옮겨심기‚ 흙을 파서 뒤집기 등 다양한 작업에 쓰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농기구의 하나이다. 괭이에서 발전한 농기구로 알려져 있으며‚ 평남 맹산 대평리의 청동기 유적지‚ 경기도 양평의 초기 철기 시대 유적지에서 호미가 출토된 것으로 보아 고대로부터 농경의 중요한 연장임을 알 수 있다. 호미는 날‚ 슴베‚ 자루로 구성된다. 모양은 무딘 쇠날의 앞이 뾰족하고 위는 넓적하고 한 끝이 휘어져 가늘게 꼬부라진 곳에 둥근 나무자루를 박아 사용한다. 각 지방에 따라 호맹이.호무.홈이.호마니.허메.허미.희미라고도 한다. 옛날에는 호 .홈의라고 하였다. 호미는 우선 크게 논호미와 밭호미로 나뉜다. 밭호미는 날 끝이 평평해서 흙 표면의 잡초를 긁는 데 편리하며‚ 밭작물 재배에 사용되는데 앉아서 쓰는 호미와 서서 사용하는 선호미가 있다. 논호미는 물이 있는 논에서 사용하도록 만들어졌다. 밭호미에 비해 자루가 짧고 세모꼴로 끝이 날카로우며 흙에 깊이 꽂아서 뒤집어 흙을 뽑는다. 밭매기에서는 호미가 1년 내내 두루 쓰이고‚ 논매기일 경우 음 력 7월 무렵에 세 벌 논매기가 끝나면 `호미씻이`라고 하여 호미를 씻어서 걸어 두고 농부나 일꾼이 중심이 되어 술을 마시고 흥겹게 하루를 노는 풍습이 있다. 또한 지방과 토질에 따라 호미날의 너비와 두께가 약간씩 다르게 나타나는데‚ 북으로 갈수록 호미날과 자루가 넓고 길며 남쪽일수록 날이 가늘고 자루도 짧아진다. 사용하는 지방의 자연적인 조건과 농작물에 따라 보습형‚ 낫형‚ 세모형 등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보습형은 중부지방에서 많이 쓰이며‚ 쟁기의 보습처럼 날이 뾰족하고 위는 넓적하다. 낫형은 전남 및 경남.제주도 등지에서 쓰이는데‚ 낫과 같이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길며 그 끝이 예리하여 자갈밭이나 저항물이 많은 밭에서 쓰인다. 그리고 남부의 낫형 호미는 중부에서 쓰이는 보습형에 비해 날이 적으며‚ 날과 호미가 이루는 각도가 완만한 편이다. 충청 및 중부 이북지방에서 주로 쓰는 세모형은 우리나라 호미 중 날과 자루가 제일 길며 풀을 깎는데 편리하다. 이러한 호미의 형태적 다양성은 토질‚ 작물‚ 경작방법에 따른 적응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농업유물(농협중앙회 농협박물관‚ 1997)‚ 한국민속대사전-호미-(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 1991)‚ 농기구(박대순‚ 1990)‚ 한국농기구고(韓國農器具攷‚ 김광언‚ 1986)‚ 광주훈종‚ 1992) <유사.관련용어> 호미.호 .홈의.호맹이.호무.홈이.호마니.허메.허미.희미날‚ 서(鋤. ) 서자(鋤子)‚ 슴베‚ 자루‚ 밭호미‚ 보습형호미‚ 낫형호미‚ 세모형호미민속박물관(광주민속박물관‚ 1997)‚ 전라남도농업박물관(전라남도농업박물관‚ 1989)‚ 민족생활어사전(이훈종‚ 1992) <사진자료> 한국의 농업유물(농협중앙회 농협박물관‚ 1997)‚ 광주민속박물관(광주민속박물관‚ 1997)‚ 전라남도농업박물관(전라남도농업박물관‚ 1989)‚ 한국농기구고(韓國農器具攷‚ 김광언‚ 1986)‚ 민족생활어사전(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