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살포

추천0 조회수 3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살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살포는 2∼3m의 긴 자루 끝에 작은 삽이나 괭이날을 달아 논의 물꼬를 트거나 막을 때 쓰는 농기구이다. 모심기 후 뜬모를 손질하거나 쟁기질하기 어려운 자투리 땅을 파거나 고를 때도 쓴다. 지역에 따라 `살포갱이 혹은 살포깽이(경상남도 영산)`.`살피(경상북도)`.`논물광이 혹은 논물관이(강원도 도계)`.`살보(전라남도)`.`삽가래(전라남도 보성)`.`삽갱이(경상북도)`.`손가래(경 상북도)`.`종가래(전라북도 봉동)`.`살보가래(전라남도 강진)` 등으로 다양하게 부른다. 남부지방에서는 대나무를 자루로 박아 쓰기도 한다. 날의 형태는 네모난 날 끝을 위로 두 번 구부리고 괴통을 단 것‚ 깻잎 모양으로 앞이 뾰족하고 끝이 위로 두 번 구부러져서 괴통이 달린 것‚ 직사각형의 몸채에 말굽쇠형의 날을 끼운 것‚ 괭이의 날처럼 위로 한 번 구부리고 괴통을 단 것 등 매우 다양하다. 무게는 700g내외이다. 흔히 지주들이 논에 나가 농사를 감독하며 돌아볼 때 지팡이 대신 짚고 다니는 연장이기 때문에 정교하고 예쁘게 치장한 경우도 많다. 논이 멀지 않은 곳에 있을 경우 여름철에 동저고리 바람에 살포를 짚고 출입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이 유물은 날끝을 쇠날로 씌웠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살포‚ 농기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속대사전-살포-(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 1991)‚ 한국의 농업유물(농협중앙회 농협박물관‚ 1997)‚ 갈이농구(전라남도 농업박물관‚ 1997)‚ 민족생활어사전(이훈종‚ 1992)‚ 한국농기구고(韓國農器具攷‚ 김광언‚ 1986) <사진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살포‚ 농기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속대사전-살포-(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 1991) ‚ 한국의 농업유물(농협중앙회 농협박물관‚ 1997)‚ 갈이농구(전라남도 농업박물관‚ 1997)‚ 민족생활어사전(이훈종‚ 1992) <유사.관련용어> 무영험자(無纓 子)‚ 살포갱이.살포깽이‚ 살피‚ 논물광이.논물관이‚ 살보‚ 삽가래‚ 삽갱이‚ 손가래‚ 종가래‚ 살보가래‚ 오리 살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